[성명] 문재인 정부 마지막 기준중위소득 결정까지 빈곤층 삶 외면
https://www.peoplepower21.org/files/attach/images/37219/266/809/001/4629... />
기준중위소득 원칙대로 결정하여…
https://www.peoplepower21.org/files/attach/images/37219/266/809/001/4629... />
기준중위소득 원칙대로 결정하여…
숫자놀음 뿐인 기준중위소득의 현실화! 부양의무자기준 완전폐지!
2022년 기준중위소득 대폭인상! 부양의무자기준 완전폐지! 가난한 이들의 민중생활보장위원회
2021년 7월 28일(…
안녕하세요? 청년참여연대입니다.
청년참여연대는 앞서 온라인혐오 대응을 위해 팀을 꾸려 직접행동을 위한 https://www.peoplepower21.org/Youth/…
정부는 매년 차년도 기준중위소득을 결정하는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엽니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에 의거, 기준중위소득 및 수급자 선정기준과 최저보장수준 등에…
중생보위 위원에게 한마디 https://url.kr/jlxzn4" rel="nofollow">[남기기]
* 7월 27일까지 수합한 메시지는 7월 28일 보건복지부와…
https://www.peoplepower21.org/files/attach/images/37219/788/790/001/cb8e... style="width:800px;…
상고심 제도 개혁, 법관과 대법관의 증원이 함께 추진되어야
국민의 재판청구권 침해·사실심 역량 악화·법원 관료화 심화 등 가져오는
대법원 상고제도 특위 상고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안녕하세요? 청년참여연대입니다. 지난 7월 3일 비오는 주말 토요일 오후,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온라인혐오에 대응하기 위해 주말에도 참여연대에 모이는 청년들의 부지런함이…
https://www.peoplepower21.org/files/attach/images/37219/353/796/001/af6d... />
2021년 7월 14일 오전 10시…
https://www.peoplepower21.org/./files/attach/images/37219/205/806/001/77... />
안녕하세요? 청년참여연대입니다.…
편집인의글
https://www.peoplepower21.org/index.php?mid=Welfare…
편집인의 글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복지동향 편집위원장
사회복지,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좋은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있는가?
성장이 일자리를 제공해주기를 기대하기…
사회서비스 공공일자리, 허와 실
김형용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회서비스 공공일자리, 경로의존성
사회서비스는 일자리 창출 분야로 주목받아 왔다. 고용위기가 본격화된…
노인 일자리의 진단과 개선과제
박경하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연구조사센터장
2021년도에 노인 일자리 규모는 80만 개를 넘어섰다. 지난 제 1∼3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장애인 일자리 사업 현황과 과제
이인재 한신대학교 재활상담학과 교수
우리나라는 2004년 노동부·재정경제부 등의 관계부처가 참여하여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장기 비전 및…
자활, 일자리 사업인가? 복지 사업인가?
최상미 동국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자활사업의 역사와 혼란스러운 정체성
자활사업은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함께…
차별금지법 제정은 사회복지사의 과제다
- 사회정의 실현을 약속한 사회복지사들께 드리는 요청의 글
김지혜 강릉원주대학교 다문화학과 교수
청소년 성소수자에 관한 연구의 수상한…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하는 시기,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 바라는 요구
정성철 빈곤사회연대 활동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이하, 코로나)’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멀게만 느껴지던…
대한노인회 소수 임원을 위한 특혜법, 대한노인회법안 발의를 철회하라!
이미진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국사회에서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인의 빈곤, 주거 문제…
우리가 플라스틱 사용을 강요당하고 있지는 않을까?
조희원 청년참여연대 사무국장
인터뷰 및 정리 김경희 사회복지위원회 활동가
그동안 편리하게 사용하고 버린 폐기물들이…
AI는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을까?
한은희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부연구위원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300만 명 이상의 생명을 앗아가는 동안, 우리는 K-방역을 통해…
안녕하세요? 청년참여연대입니다.
지난 6월 22일 화요일 저녁, 청년참여연대는 온라인혐오 대응 캠페인의 첫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본격적인 캠페인을 진행하기 앞서, 함께 활동할…
코로나19 손실보상, 핵심은 실효성 있는 피해보상이다
‘맞춤형 피해지원금’ 손실보상 대체가능한지 의문, 대상·금액 확대해야
보편적인 피해지원 필요하나 손실보상은 헌법상 의무,…
편집인의글
https://www.peoplepower21.org/index.php?mid=Welfare…
편집인의 글
김보영 영남대학교 교수
K-방역의 성공은 또다른 개발국가의 모습이었는가
K-방역은 한때 국민적인 자부심과 같았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확진자 수가 급증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