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회] 핵발전소 노동자 66%가 비정규직, 안전의 외주화
9월 25일, 녹색당 - 핵발전소 비정규직 노동과 안전운영 모색 간담회* 아래 내용은 녹색당에서 간담회가 끝난 후 배포한 보도자료 입니다. 중간에 노동건강연대…
9월 25일, 녹색당 - 핵발전소 비정규직 노동과 안전운영 모색 간담회* 아래 내용은 녹색당에서 간담회가 끝난 후 배포한 보도자료 입니다. 중간에 노동건강연대…
우리사회 노동문제의 대가인 하종강 성공회대 교수가 지난 9월 13일 한겨레 신문에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다.
“ 2012년 10월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 경제의 지속·포용…
우리사회 노동문제의 대가인 하종강 성공회대 교수가 지난 9월 13일 한겨레 신문에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다.
“ 2012년 10월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 경제의 지속·포용…
비정규 노동 문제 활동가, 복지를 말하다
이남신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상임활동가
인터뷰 및 정리 조준희 |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간사
비정규 노동자 규모…
비정규 노동 문제 활동가, 복지를 말하다
이남신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상임활동가
인터뷰 및 정리 조준희 |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간사
비정규 노동자 규모…
특집 2_비정규직 제로
비정규직 남용
실태와 대책
글.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외환위기 전에는 기업이 사람을 뽑으면 대부분 정규직이었다. 요즘은…
특집 2_비정규직 제로
비정규직 남용
실태와 대책
글.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외환위기 전에는 기업이 사람을 뽑으면 대부분 정규직이었다. 요즘은…
특집 4_비정규직 제로
비용이 아닌
자산으로서의 인간
글. 박진영 서울시 공기업담당관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한 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특집 4_비정규직 제로
비용이 아닌
자산으로서의 인간
글. 박진영 서울시 공기업담당관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한 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당기순이익 290억 원 Vs. 시급 7,260 원의 싸움
출근길 지하철에서 흔하게 마주하는 청년 노동자의 이야기입니다. 이들이 취업한 곳은 재벌인…
당기순이익 290억 원 Vs. 시급 7,260 원의 싸움
출근길 지하철에서 흔하게 마주하는 청년 노동자의 이야기입니다. 이들이 취업한 곳은 재벌인 한라그룹의 계열사인…
당기순이익 290억 원 Vs. 시급 7,260 원의 싸움
출근길 지하철에서 흔하게 마주하는 청년 노동자의 이야기입니다. 이들이 취업한 곳은 재벌인…
당기순이익 290억 원 Vs. 시급 7,260 원의 싸움
출근길 지하철에서 흔하게 마주하는 청년 노동자의 이야기입니다. 이들이 취업한 곳은 재벌인 한라그룹의 계열사인…
변영주를 요약하다
변영주 회원/영화감독
글. 호모아줌마데스
두 딸을 키우고 있는 애 엄마. 2007년 참여연대 회원 가입과 동시에 자원활동 시작. 아카데미 느티나무에서…
변영주를 요약하다
변영주 회원/영화감독
글. 호모아줌마데스
두 딸을 키우고 있는 애 엄마. 2007년 참여연대 회원 가입과 동시에 자원활동 시작. 아카데미 느티나무에서…
30년 전인 1987년 7월, 전국의 거리는 노동자들로 가득 찼다.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외침이 전국을 뒤덮었다. 당시 많은 노동자들은 살인적인 저임금과 인권탄압에 시달리고…
30년 전인 1987년 7월, 전국의 거리는 노동자들로 가득 찼다.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외침이 전국을 뒤덮었다. 당시 많은 노동자들은 살인적인 저임금과…
30년 전인 1987년 7월, 전국의 거리는 노동자들로 가득 찼다.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외침이 전국을 뒤덮었다. 당시 많은 노동자들은 살인적인 저임금과…
30년 전인 1987년 7월, 전국의 거리는 노동자들로 가득 찼다.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외침이 전국을 뒤덮었다. 당시 많은 노동자들은 살인적인 저임금과 인권탄압에 시달리고…
참여연대를 응원하는 또 하나의 방법,
알라딘에서 『참여사회』 7-8월 합본호 구입하고 마우스패드도 받으세요!
그동안 『참여사회』 혼자 보기 아까우셨죠? 이제 알라딘에서도…
참여연대를 응원하는 또 하나의 방법,
알라딘에서 『참여사회』 7-8월 합본호 구입하고 마우스패드도 받으세요!
그동안 『참여사회』 혼자 보기 아까우셨죠? 이제 알라딘에서도…
① 가장 열악한 간접고용 비정규직부터 해결 ② 공공부문에도 ‘비정규직 공장’ 많다 ③ 공공 비정규직 1/3 이상이 교육부문에 몰려…
① 가장 열악한 간접고용 비정규직부터 해결 ② 공공부문에도 ‘비정규직 공장’ 많다 ③ 공공 비정규직 1/3 이상이 교육부문에 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