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몸은 따로지만 마음은 함께해요! 지구를 위한 발걸음 ‘랜선 골목길 플로킹’
환경운동연합 중앙사무처는 ‘지구의 날’을 맞아 지난 4월 25일 골목길 플로킹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였습니다. 플로킹이란 Ploka Upp(스웨덴어, 줍다) + Walking의…
환경운동연합 중앙사무처는 ‘지구의 날’을 맞아 지난 4월 25일 골목길 플로킹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였습니다. 플로킹이란 Ploka Upp(스웨덴어, 줍다) + Walking의…
사조산업 오룡711호 미흑점상어 불법포획 관련 정보공개 청구 및 공개질의
사조산업 오룡 711호는 지난 2017년부터 19년까지 남태평양 공해상에서 포획금지어종이자…
유유히 바다를 헤엄치던 고래에게 생긴 불행
지난 밸런타인데이에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날아온 사진이 있었습니다. 사진을 본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 모두 먹먹한 가슴으로 하루를…
3월 19일 오후 2시, 환경운동연합, 물개혁포럼, 시민환경연구소,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1대 국회, 물개혁 의제 무엇인가’ 온라인토론회가 열렸다. 이번…
4대강 복원 비용이 1700조?허무맹랑한 주장 하는 한무영 국가물관리위원은 사퇴하라
2020년 4월 1일, 환경관리연구소가 발간하는 웹진인 월간환경기술 4월호에…
위헌적인 비례위성정당을 즉각 해산하라. 21대 총선이 한달도 남지 않은 지금, 정치권은 실로 전대미문의 막장 드라마를 연출하고 있다. 미래통합당이 탈법적으로 비례대표 의석을 더…
다시 적발된 불법어업, 책임은 누가 지나요?
[caption id="attachment_205201" align="aligncenter" width="800"] 집하되는 참치…
2020 풀꿈자연학교 참가자 모집합니다!
풀꿈자연학교는 자연속에서 친구들과 뛰놀면서 나무와 꽃에 대한 소중함을 느끼는 프로그램입니다.
미래의 주인공인 아이들이 자연속에서…
사조산업 EEZ 불법어업, 정부는 원양어업 투명성 강화해야
지난 23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마셜제도 수산국은 관할수역 내 불법어업을 자행한 사조산업 ‘오룡721호’를…
대전환경운동연합, “2019년 금강 모니터링 결과, 멸종위기종 큰고니 급증”
[caption id="attachment_204918" align="aligncenter"…
활동가 맘대로 뽑아본 전 세계 위기의 고래 TOP 10
바키타 돌고래
[caption id="attachment_204906" align="aligncenter" width…
바다의 경이로운 생물, 오늘은 고래의 날입니다.
[caption id="attachment_203576" align="aligncenter" width="800"] 먹이를…
[현장소식] 환경부는 멸종위기종 방류, 산청군은 서식지 훼손?
정은아 진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caption id="attachment_204737" align="…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사는 고래는 얼마나 생존할 수 있을까요?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는 Science지를 통해 가장 지구에서 가장 오래 사는 고래의 나이를…
정글의 법칙에서 잡은 눈다랑어, 얼마나 귀한 생명체일까?
[caption id="attachment_204482" align="aligncenter" width="800…
하천의 졸업생, 미금보
- 여전히 졸업을 기다리는 백현보와 백궁보
환경운동연합 대학생인턴 이가은
성남시 탄천에는 다양한 높이와 형태를 가진 보가 15개 있다. 이는 모두…
효용 다한 SOC투자의 자금줄을 끊어야 한다. 경제성뿐 아니라 정책적 타당성도 없는 SOC 사업이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곳간처럼...
환경보전을 위한 아이디어
환경운동연합 해양활동가는 MIIS(Middlebur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at Monterey)의 지원으로…
4대강 수질의 장애 요인 4대강 보, 해체가 정답이다.
- 보 개방 수준에 따라 유역별로 녹조 발생 추이의 현격한 차이 확인
[caption id="…
1회용컵 보증금제 재도입이 시급하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연간 일회용 플라스틱컵 사용량은 257억개. 국민 1명이 1년에 500개 정도 되는 플라스틱 컵 쓰레기를 …
기후위기 대응 및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서울시 탈석탄 금고 기준 개정방안 토론회]
>> 2019년 11월 13일 (수요일) 19시~>> 파고다 내일캠퍼스 (서울시 종로구…
27주년 기념의 밤은 ‘지금 다시, 환경정의’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환경정의’라는 개념은 창립 당시에는 상당히 시대를 앞선…
[토론회 후기] 서울시 산하 위원회 위원이 박원순 시장을 비판한 이유
- 염형철 신곡수중보 정책위원 "위원회는 서울시 꼭두각시, 공무원 방패막이에 불과했다."
오마이뉴스 정대희…
환경운동연합(대표 권태선, 이철수, 장재연)은 내년 예산안을 분석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하 의견서)를 발표했다. 의견서는 4개 부처(해수부, 산자부, 환경부, 국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