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변화사례 아카이브 태그글 모음

결과값: 126 - 150 of 153

[건강] 시민의 건강과 인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안전한 생리대 운동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더 잘 피 흘리기 위해 우리는 싸울 권리가 있습니다!#[안전한 생리대 운동]의 시작 ‘그날’을 준비하기 위해 마트나 편의점에 가서 생리대를 집어 드는 당신. 우리나라에서…

댓글: 0  조회수: 0

[건강] 어린이의 건강을 지켜라, 안전한 먹거리 운동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아이들에게 안전한 먹거리 환경을 조성하라!#[안전한 먹거리 운동]의 시작 ■ 말도 제대로 못하는 아이가 북극곰 나오는 광고를 보더니 환호성을 지른다.  출산 초기 모유가 나오지…

댓글: 0  조회수: 0

[농업] 소비자의 알 권리를 위한 투쟁, GMO 운동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다양한 파괴 종결자 GMO, 우리는 알고 선택해서 먹을 권리가 있다!#[GMO 운동]의 시작 ■ 끝없는 논란 GMO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댓글: 0  조회수: 0

[농업] 밀 자급률 제로에서 1%가 되기까지,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은 어떻게 실현되었을까요?

우리 밀을 지키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다!#[우리밀 살리기 운동]의 시작 ■ 우리 밀은 어떻게 멸종 위기가 되었나 한때는 혼례, 제례 등 특별한 날 국수로 만들어져 귀한 몸이었던…

댓글: 0  조회수: 0

[복지] 빈곤의 사슬을 끊어내기 위한 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운동은 누가 시작했을까요?

빈곤의 사각지대, 부양의무자기준 폐지를 요구합니다!#[부양의무자기준 폐지 운동]의 시작  ■ “법도 사람이 만드는 것인데 법이 사람에게 이럴 수 있냐”   2012년 6월,…

댓글: 0  조회수: 0

[복지] 인간다운 삶으로 한 단계 올라서는 과정, 생활임금 도입을 어떻게 이끌어냈을까요?

노동자의 생활의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생활임금 도입이 필요합니다!#[생활임금 도입 운동]의 시작 ■ 늘 가능한 최소한의 금액으로 환산되었던 임금  지방자치단체에서 일한다고…

댓글: 0  조회수: 0

[복지] 시민사회 손으로 만든 한국경제 선진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어떻게 제정되었을까요?

행복하게 생활할 권리, 제도를 통한 기초생활보장을 모든 국민이 누려야 될 ‘사회권’으로 인식해야 합니다!#[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시작 ■ 국민이면 누구나 다 삶에 대한 기본적인…

댓글: 0  조회수: 0

[복지] 인간다운 생활을 위해 에너지를 차별 없이 공급받을 권리, 누가 만들어갔을까요?

인간다운 삶을 위해 당연한 권리로써 보장받아야 하는 것들에 대하여!#[에너지 기본권 실현 운동]의 시작 ■ 촛불이 삼킨 목숨사회 양극화로 인한 복지 사각지대와 취약계층의 인간다운…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죽지 않고 병들지 않고 일할 권리, 직업병에 대한 인정을 받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했을까요?

노동자가 위험을 알고 예방할 수 있는 알 권리와 노동환경 변화가 필요합니다!#[반도체 직업병 산재 인정]의 시작 ■ 황유미의 죽음, 황상기의 울분  “아버님이 이 큰 회사를…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안방에서 벌어진 비극, 가습기살균제를 만든 기업의 잘못을 어떻게 밝혀갔을까요?

수많은 희생자를 발생시킨 화학물질 안전사고에 문제를 제기합니다!#[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 공식화]의 시작 “안방의 세월호”라고 불렀다. 가정마다 집집마다 안방이 있다. 방이…

댓글: 0  조회수: 0

[환경] 개구리가 죽고, 두통에 시달리는 주민이 사는 마을을 환경 정의로 구하라!

한국의 법과 제도를 변화시키는 일, 당면한 문제뿐만 아니라 비슷한 문제의 재발을 막기 위한 첫걸음!#[환경정의 입법 운동]의 시작 ■ 새가 죽고 개구리가 이상해지는 마을  …

댓글: 0  조회수: 0

[환경] 파란 하늘을 마음 놓고 볼 수 있기 위해 어떤 시도를 했을까요?

2060년 OECD 국가 중 대기오염으로 인해 조기 사망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한국, 이를 바로잡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대기 질 개선 운동]의 시작 ■…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수돗물을 오염시킨 낙동강 페놀사건, 어떻게 응징했을까요?

안일한 환경의식과 비윤리적인 기업 경영의 증거를 찾아라!#[낙동강 페놀사건 기업 불매 운동]의 시작 ■ 27년 전, 국민의 가장 격렬한 분노를 일으켰던 낙동강 페놀사건  세계에서…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어떤 이들이 20년 동안 힘을 모아, 지리산댐 백지화를 이루어냈을까요?

각계각층 연대로 지리산을 지키다!#[지리산댐 백지화 운동]의 시작 ■ 지리산댐, 잠들어 있던 지리산 사람들을 깨우다  1991년, 경남 산청에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양수발전소…

댓글: 0  조회수: 0

[환경] 댐 건설 수몰 위기로부터 어떻게 동강을 지켜냈을까요?

인간 중심의 사고가 아닌 자연과 공생하는 의식을 가져야 합니다!#[동강댐 백지화 운동]의 시작 ■ 비경과 전설이 깃든 동강 강원도 영월군 동강은 동강할미꽃과 같은 희귀 동식물과…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용인 난개발로부터 누가 맞서 대지산을 지켜냈을까요?

무차별적인 녹지 훼손, 난개발을 반대합니다!#[대지산 살리기 운동]의 시작 ■ 용인 난개발과 시민의 저항  나들이 가던 임금이 대지 고개 쪽을 바라보며 “이곳은 꽤 큰 땅이구나…

댓글: 0  조회수: 0

[환경] 무분별한 개발로부터 대지산을 어떻게 구해냈을까요?

경제적 이익을 앞세운 난개발로 행해지는 생태계 훼손을 반대합니다!#[그린벨트 지정 청원 운동]의 시작 ■ 그린벨트 해제 정책으로 시작된 싸움  개발제한구역은 도시의 무질서한…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시민이 조성하고, 민간이 운영하는 국내 최초의 공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도시의 생태적 회복을 만들어가기 위해 많은 사람들의 손이 더해진 서울 숲 만들기 운동!#[그린트러스트 운동]의 시작2003년 1월 1일 불암산에 올라섰다. 정상에서 내려본 내가…

댓글: 0  조회수: 0

[환경] 행정과 시민이 공원을 함께 만들고 운영할 수 있었던 방법은?

시민이 함께 만든 공원, 함께 운영하는 공원으로 성장하다!#[그린트러스트 운동]의 시작 ■ 행정혁신과 시민참여의 모델이 되다.  “아무리 훌륭한 계획도 시민과 공유되지 않는…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아이들은 어떻게 숲으로 등교할 수 있었을까요?

학교에는 아이들을 위한 건강한 환경과 공간이 필요합니다!#[학교숲 운동]의 시작 졸린 눈 비비고 일어나 힘찬 하루를 시작하는 우리 아이들의 등굣길을 따라나서 보자. 분명 우리네…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안전하게 자원이 순환되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 그리고 재활용까지 전 과정에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자원순환기본법 제정]의 시작 ■ 생산자들은 왜 물건을 팔기만 하고 재활용은 나몰라라 하지…

댓글: 0  조회수: 0

[환경] 디지털 시대 골칫거리 수명이 다한 전자폐기물 누가 책임 지나요!

시민 책임이던 전자폐기물, 소비자에서 생산자 책임으로 전환하라!#[전자폐기물 생산자책임재활용도입법]의 시작 ■ 전자폐기물 현황  진보하는 정보통신, 전기·전자제품들이 매일…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쓰레기종량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쓰레기 감량을 위한 특단,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라!#[쓰레기 종량제 시행 운동]의 시작 ■ 쓰레기종량제 시민단체 참여 배경  1992년에는 국민 1인당 쓰레기의 발생량이 1.…

댓글: 0  조회수: 0

[환경] 즐거운 불편, 플라스틱 없는 일상 만들기!

영원히 썩지 않고 두고두고 우리를 괴롭힐 플라스틱 사용을 멈춰주세요!#[플라스틱 없는 일상 만들기 운동]의 시작■ “매장에서 드시고 가신다면 머그잔은 어떠세요?”  친절하고…

댓글: 0  조회수: 0

[환경] 대형할인마트에서 비닐봉투를 어떻게 없앴을까요?

장을 보러 갈 때는 1회용 비닐봉투가 아닌 다회용 장바구니를 사용해 주세요!#[1회용 비닐봉투 판매 금지]의 시작■ 1회용 비닐봉투, 편리함이 불러온 사용 증가  예전, 우리…

댓글: 0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