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그린뉴딜 태그글 모음

결과값: 26 - 50 of 51

[성명서]한국 금융기관과 정부는 기후위기 악화시키는 석탄 사업 투자를 중단하라

성명서 한국 금융기관과 정부는 기후위기 악화시키는 석탄 사업 투자를 중단하라 호주 석탄 수출항만 개발 사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했던 삼성증권이 불매운동에 대한 압력에 따라 지난…

댓글: 0  조회수: 0

[토론회]그린뉴딜 시대, 신규 석탄화력 사업 이대로 해도 좋은가? (7.23)

  [토론회] 그린뉴딜 시대, 신규 석탄화력 사업 이대로 해도 좋은가? 일시: 2020년 7월 23일(목) 오후 4시 - 6시 30분주최: 국회의원 이소영주관: 기후솔루션,…

댓글: 0  조회수: 0

[기자회견문] 목표 없는 그린뉴딜로는 기후위기에 결코 대응할 수 없다.

2020년 7월14일, 정부가 그린뉴딜과 디지털뉴딜을 중심으로 한 한국판 뉴딜의 세부계획을 발표하였다.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의 그린뉴딜에 대한 첫 언급 이후, 정부는 7월 중…

댓글: 0  조회수: 0

[기자회견문] 목표 없는 그린뉴딜로는 기후위기에 결코 대응할 수 없다

기후위기 비상행동 기자회견문 목표 없는 그린뉴딜로는 기후위기에 결코 대응할 수 없다 7월 14일, 정부가 그린뉴딜과 디지털뉴딜을 중심으로 한 한국판 뉴딜의 세부계획을 발표하였다…

댓글: 0  조회수: 0

[기자회견문] 경상남도는 2030년 석탄발전 중단 계획 수립하라

경상남도는 2030년 석탄발전 중단 계획 수립하라 지난 6월 5일 경상남도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기후위기 비상선언’을 선포했다. 광역 지방정부로서 세 번째…

댓글: 0  조회수: 0

[논평] 그린 뉴딜 성공하려면, 목표와 과제 설정 제대로 보완해야

[논평] 그린 뉴딜 성공하려면, 목표와 과제 설정 제대로 보완해야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2025년까지 디지털 뉴딜…

댓글: 0  조회수: 0

녹색전환 선도국가로 나아가는 길 (1)

녹색 전환(Green Transformation)은 또 다른 미래 한국 100년의 운명을 좌우할 최우선정책이어야 한다. 지난 6개월 동안 벌어진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댓글: 0  조회수: 0

[토론회 후기] 2020년의 그린뉴딜과 하천의 생태복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기이다

  6월 23일, 환경운동연합과 한정애 국회의원, 민형배 국회의원, 서울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가 공동주최하고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후원한 “그린뉴딜과 하천의 생태복원 -…

댓글: 0  조회수: 0

6월 기후행동학교 후기

평소 기후위기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왜인지 모르겠지만 걱정이 3초 정도 들었다. ‘아/맞아/기후위기 중요하지/’ 하지만 3초 후, 당장 신경 쓰고 공부해야 할 것이 더 많은데,…

댓글: 0  조회수: 0

[토론회] 그린뉴딜과 하천의 생태복원 – 장기 미사용 농업용보 어떻게 할 것인가

  6월 23일(화) 10시 ~ 1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그린뉴딜과 하천의 생태복원 - 장기 미사용 농업용보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과…

댓글: 0  조회수: 0

[토론회 후기] 코로나19 이후, 한국사회의 생태민주적 전환방안

  6월 9일, ‘코로나19 이후, 한국사회의 생태민주적 전환방안’라는 이름으로 환경운동연합의 내부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의 우리 사회,…

댓글: 0  조회수: 0

[제5회 RE100 포럼] 탄소중립과 그린뉴딜을 위한 발전부문 전망과 과제

제5회 RE100 포럼 탄소중립과 그린뉴딜을 위한 발전부문 전망과 과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주요 논의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원전의 점진적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의…

댓글: 0  조회수: 0

대위기 출구전략은 담대한 발상과 조밀한 계획으로부터: 그럴듯한 정책만으로 뭘 이룰까?

2020년 초반부터 불어 닥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돌림병(COVID-19)의 세계적 유행과 확산은 미국을 정점으로 하는 자본주의세계체제가 누려왔던 기성 질서와 관성이 매우…

댓글: 0  조회수: 0

코로나 이후의 ‘뉴노멀’: 새로운 사회계약의 필요성

코로나 이후의 ‘뉴노멀’에 대한 논의들이 쏟아지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에 우리는 한국 사회가 ‘세월호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는 생각을 공유한 바 있다. 그 결과 2016-…

댓글: 0  조회수: 0

[바다의날 논평]인천앞바다 대규모 간척을 중단하고, 해양수산부는 바다환경부로 거듭나라

인천앞바다 대규모 간척을 중단하고, 해양수산부는 바다환경부로 거듭나라 1) 바다의 주인 해양포유류를 보호하는 법률 제정 2) 해양생태계를 우선하는 해상풍력 추진 3) 준설토를…

댓글: 0  조회수: 0

[토론회] 코로나와 기후재난시대, 어떤 ‘그린뉴딜’이 필요한가

토론회 | 코로나와 기후재난시대, 어떤 ‘그린뉴딜’이 필요한가 ◎일시: 2020년 5월 27일 (수) 오후 2-5시◎장소: 유네스코회관 11층 유네스코홀 (서울시 중구 명동길…

댓글: 0  조회수: 0

[코로나19와 환경운동] ⓶한국사회에 그린뉴딜이 필요한 이유

코로나19와 임박한 기후위기, 그린뉴딜은 구원투수가 되어줄 수 있을까?   [caption id="attachment_207167" align="aligncenter"…

댓글: 0  조회수: 0

[논평]문재인 대통령의 그린뉴딜 지시를 환영하며, 과감한 생태민주적 전환을 제안한다

13일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서 ‘문재인 대통령이 그린뉴딜이 일자리를 만들 기회이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댓글: 0  조회수: 1

다가오는 경기 침체, 그린 뉴딜이 해답이다

기후 파업 참가자들이 도보 행진을 하고 보수 정당들이 퇴조하고 있는 가운데 진정한 시스템 변화를 이룰 수 있는 확실한 기회를 손에 얻었다. 미국의 패권적 강짜, 브렉시트라는 암초…

댓글: 0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