惡人과 是非를 논하며
論是非與惡人
事因皆在我(사인개재아)
薄德以無知(박덕이무지)
變改成何日(변개성하일)
長歎不可期(장탄불가기)
惡人과 是非를 논하며
일의 원인은 모두 나에게 있으니
德이…
論是非與惡人
事因皆在我(사인개재아)
薄德以無知(박덕이무지)
變改成何日(변개성하일)
長歎不可期(장탄불가기)
惡人과 是非를 논하며
일의 원인은 모두 나에게 있으니
德이…
孤遊夏花群中吟
負手孤徐步(부수고서보)
東西識我花(동서식아화)
化蜂成一蝶(화봉성일접)
忽入彼仙家(홀입피선가)
여름 꽃들 가운데 홀로 노닐며 읊다
뒷짐 진 채 혼자서…
不信者逢牧師
孰聖誰何俗(숙성수하속)
無非死後神(무비사후신)
再臨君盡信(재림군진신)
甚易作愚民(심이작우민)
不信者가 목사를 만나
그 누가 聖이며 뉘라서 俗이런가
죽은…
相別卅年後再逢故鄕舊友輩
四處長離散(사처장리산)
今宵幸再逢(금소행재봉)
呼名相勸酒(호명상권주)
半有舊時容(반유구시용)
서로 헤어진 지 삼십 년 후에 고향의 옛 벗들을 다시…
勸從弟不遷祖上墓
比隣遷墓後(비린천묘후)
無病愛妻亡(무병애처망)
作罪呈遺骨(작죄정유골)
斯言勸莫忘(사언권막망)
사촌 아우에게 조상 墓를 옮기지 말라고 권하다
이웃에 사는…
狹路逢怪漢
前世吾仇敵(전세오구적)
今生遂再逢(금생수재봉)
折腰低首禮(절요저수례)
何若不溫恭(하약불온공)
좁은 길에서 怪漢을 만나
이전 세상에서 나의 원수였는데
今生에서…
[YTN 라디오 ‘이동형의 뉴스 정면승부’]■ 방송: FM 94.5 (18:10~20:00)■ 방송일: 2019년 6월 7일 (금요일)■ 대담: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인터뷰] 70년 전 일본 미쓰비시에 떼인 ‘월급 도장’ 기증한 고 윤영준 이병 부모
▲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인 고 윤재찬씨 막내아들인 윤출호(오른쪽에서 두번째) 박윤자(…
次住持逐客韻
無家無尺土(무가무척토)
定處我何關(정처아하관)
四季如雲水(사계여운수)
今宵亦自閑(금소역자한)
住持의 나그네를 내쫓는 詩에 次韻하다
집도 없고 한 뙈기의…
국립현충원 내의 친일파의 묘지를 없애 민족혼을 되찾자 > 대한민국 청와대
http://me2.do/GTMdUMiI
강대선 강대운 강은구 강인균 강태봉 고경옥 고민정 고신애 고혜영 공미영 구미성 국세현 길은지 김덕순 김문호 김미자 김미형 김민아 김민호 김병일 김선기 김선영 김성전 김세현 김세호…
+으로 묶인 분들은 가족입니다.
“‘하남’은 강동송파, ‘광명’은 서울남서, ‘김포’는 인천, ‘나주담양영광장성함평화순’은 광주, ‘경산고령군위성주영천청도칠곡’은 대구, ‘…
追慕金若山元鳳先生
日帝恒驚恐(일제항경공)
其名義烈團(기명의열단)
平生唯爲國(평생유위국)
地下尙飢寒(지하상기한)
若山 김원봉 선생을 추모하며
日帝가 늘 놀라고…
從兄又送梅實乃寄深謝書
前年梅實酒(전년매실주)
別室待從兄(별실대종형)
未遇過三載(미우과삼재)
何時共擧觥(하시공거굉)
사촌 형님이 또 梅實을 보냈기에 깊이 감사하는 글을…
시민단체, 대전현충원에서 반민족·반민주행위자 묘 이장 촉구
▲ 민족문제연구소 대전지부, 국가공무원노동조합, 대전민중의힘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6일 오전 11시, 대전현충원…
▲ 한국 사회에서 일제강점기 때 이뤄진 피해에 대한 배보상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91년 8월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공개한 고 김학순 할머니의 실명 선언이…
又自歎(우자탄)
一朝焉積德(일조언적덕)
忍辱久修身(인욕구수신)
處世如兒女(처세여아녀)
空虛六五春(공허육오춘)
또 스스로 탄식하며
하루아침에 어떻게 덕을 쌓으랴
忍辱하며…
不信者笑吟
耶蘇無所有(야소무소유)
佛氏久飢寒(불씨구기한)
牧者僧多慾(목자승다욕)
衆人不禁歎(중인불금탄)
不信者가 웃으며 읊는다
예수는 가진 것이라곤 없었으며
부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