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생태지평 태그글 모음

결과값: 51 - 75 of 199

남종영의 에피파니 #1_ 북극곰, 벅피버 혹은 에피파니

2006년 9월4일, 미국 알래스카의 북극해의 해안마을 카크토비크에서 북극곰을 만났다. ⓒ남종영 15년 전, 나는 툰드라와 바다의 경계 지점에 있는 카크토비크 마을에…

댓글: 0  조회수: 0

[섬에서 삶] 여섯번째 이야기 - 화순곶자왈 생물다양성 탐사

여름이 시작되고 푸르름이 깊어가는 요즘, 일 년 전 임신 6개월 차에 약간 부담이 되었지만 참여했던 프로그램이 생각났다. 당시에는 ‘지금 안가면 앞으로 언제 참여할 수 있을지…

댓글: 0  조회수: 0

[새와 사람 사이] #2_ 검은머리물떼새는 어떻게 됐을까?

강화 남단에 ‘여차리 물꽝’이라 불리는 무지하게 넓은 폐양식장이 하나 있다. 농사지을 물이 부족한 섬이다 보니 논배미 옆에 빗물이라도 받아 놓으려고 파놓은 둠벙을 ‘물꽝’이라…

댓글: 0  조회수: 5

[꽃사슴과 함께하는 버드스쿨] 1화 - 박새편

---   꽃사슴 만화 그리는 디자이너 겸 카페주인  아직도 어떻게 살아야할지 모르겠다며 무턱대고 그냥 살아가는 강화도에 있는 버드카페 주인

댓글: 0  조회수: 0

[김기범 기자의 사람과 자연] 코로나19 이후의 지구 생태계와 인간의 관계

“코로나19 사태로 인간들의 활동이 위축되면서 자연이 회복되고, 지구는 살아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여러달 지속되면서 잊을 만하면 포털 뉴스창에 이런 내용의 기사들이…

댓글: 0  조회수: 0

코로나 방역에 가려진 것과 우리의 선택

무너진 생태계와 코로나 사태 SARS-CoV-2(사스 코로나바이러스 2형)의 변형으로 2019년 12월부터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COVID-…

댓글: 0  조회수: 0

[새와 사람 사이] 번식할 권리를 보장하라!

얼마 전, 수하암에 다녀왔다. 영종대교 중간쯤에 위치한 작은 바위섬인 수하암은 매년 수십 쌍의 저어새가 번식하는 곳이다. 저어새는 전 세계 생존 개체 수가 4,800마리 안팎인…

댓글: 0  조회수: 0

코로나 19가 만든 ‘인간 없는 세상’

코로나 19가 전세계를 멈춰 세웠다.  WHO는 팬더믹을 선언했고, 전 세계가 국경을 막아섰고, 시민들은 집안에 감금당하였다.  도시는 텅 비었고, 상점은 개점 휴업 상태이며…

댓글: 0  조회수: 0

[김기범 기자의 사람과 자연] 개발로 사라지는 멸종위기야생생물들

 경기 김포의 한국공항공사 김포공항골프장에서 금개구리가 사라졌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월 20일 김포공항 골프장 인근 농수로에 서식하던 금개구리 30여개체가 자취를…

댓글: 0  조회수: 0

[섬에서 삶] 다섯째 이야기 - 제주곶자왈도립공원

제주도에는 모두 5개의 해양도립공원과 1개의 육상도립공원이 있다. 이중 가장 최근에 지정된 도립공원인 제주곶자왈도립공원은 화산섬인 제주도에 존재하는 독특한 생태계이다.…

댓글: 0  조회수: 3

코로나19 어떻게 끝나는 걸까? 사스랑 메르스는 어땠지?

바야흐로 대 유튜브 시대!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와 비대면 콘텐츠의 수요가 겹치면서 생태지평의 막내가 나섰습니다! ... 구독자 100명 쯤 나오면 다음편이 나올 수…

댓글: 0  조회수: 0

[서풍소식] 모래강이 흐르지 않자 생명도 멈췄다

내성천 중류 예천, 모래강은 아이들을 엄마처럼 품었다. 모래강은 다시 흘러야 한다. / ⓒ박용훈 국토부가 아닌 환경부가 시험담수라는 이름을 내걸고 영주댐 수문을 닫았다. ‘…

댓글: 0  조회수: 0

[김기범 기자의 사람과 자연] 야생동물과 전염병 (제목 검토)

1918년 스페인독감 약 5000만명, 1957년 아시아독감 약 100만명, 1968년 홍콩독감 약 70만명, 1976~2019년 에볼라 출혈열 약 1만2950명, 2002~…

댓글: 0  조회수: 0

[섬에서 삶] 네번째 이야기 - 섬에서 출산과 육아하기

새근새근 자는 아기(사진: 이승은) 아기를 낳았다 2019년 2월부터 아기를 뱃속에 품고 열 달을 지내고 12월에 아기를 낳았다. 나는 임신 중에 입덧도 심하지 않고, 여름…

댓글: 0  조회수: 1

[얼룩말 호주에 가다] 마지막, 여덟 번째 이야기 - 호주에서 경험이 남긴 것

어느새 한국으로 돌아 온지도 1달이 지나고, 글의 연재도 마지막 회를 맞았다. 호주에서 머물렀던 1년은 스스로에 대해서 좀 더 알게 되는 시간이었다. 그 중에는 어떤 일을 하며…

댓글: 0  조회수: 0

[공지] 2020년 생태지평연구소 정기총회 개최

[00-2002017]_정기종회-2020-위임장-생태지평.hwp 

댓글: 0  조회수: 0

[서풍소식] 내성천에서 흰수마자는 사라져 가는데, 환경부는 영주댐 시험담수 강행 - ③

수공 업무인 댐 안전성 조사를 시민사회가 모니터링? 환경부 보도자료는 ‘시험담수 감시(모니터링)단 구성’으로 “시험담수 결과의 객관성 및 공정성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

댓글: 0  조회수: 0

[서풍소식] 내성천에서 흰수마자는 사라져 가는데, 환경부는 영주댐 시험담수 강행 - ②

국제심포지엄에 해외 석학 초청해놓고 보도자료도 안올려 오마이뉴스는 올해 이라는 제목으로 27차에 걸쳐 4대강사업과 관련하여 기획기사를 연속으로 내보낸 적이 있다. 그 14번째…

댓글: 0  조회수: 0

남북공유하천으로서 임진강의 최근 현안과 관리방안

1. 서론    임진강은 한강이 서해로 나가기 직전에 합류하는 하천으로 한강과 더불어 넓은 영역의 하구를 형성하고 있다. 임진강은 전체 유역면적이 8,138.9 ㎞²이고 총…

댓글: 0  조회수: 0

[서풍소식] 내성천에서 흰수마자는 사라져 가는데, 환경부는 영주댐 시험담수 강행

2019년 7월 23일, 낙동강네트워크,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생태지평, 환경정의,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 등 환경단체와 천주교창조보전연대, 기독교환경운동연대, 불교환경연대,…

댓글: 0  조회수: 0

[얼룩말 호주에 가다] 일곱번째 이야기 - 호주 산불을 통해 보아야 할 것들

12월 중순 즈음부터 주변 지인들에게서 호주에 산불이 심각하다고 들었다며 나의 안부를 물어오는 연락이 잦아졌다. 당시에 뉴스를 통해 꽤 큰 산불이 진행 중이라는 것은 알고…

댓글: 0  조회수: 0

2020년 경자년, 올해도 생태지평은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0년 경자년,흰쥐처럼 부지런하고 토실토실한 결과들이 많은 해가 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생태지평의 모든 연구원은 생태사회를 향해 올해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댓글: 0  조회수: 0

[안내] 2019 연말정산 기부금영수증 발급안내

한 해 동안 정성을 보내주신 생태지평 회원님과 후원자님께 감사드립니다.  2019년도 기부금영수증 발급 관련 사항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1. 개인정보 확인…

댓글: 0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