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광주 북구 시민정치마당

결과: 301 - 325 of 2265

[2020.03.01전남일보]기후환경 이야기>기후위기 해법 – 유럽연합 그린 딜(EU Green Deal)

유럽지역 27개국(최근 영국탈퇴)으로 구성된 유럽연합(EU)은 세계 최대의 경제권이자,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오늘까지…

댓글: 0  조회수: 0

[2020.08.27전남일보]기후환경이야기·임낙평>한반도의 장마와 폭우, 기후위기 증거

긴 장마와 폭우가 한반도의 여름을 강타하고 있다. 경향각지에서 과거에 없던 폭우와 피해소식을 연일 보고 듣는다. 가정이든 직장이든 사람들이 모이는 찻집이나 식당에서도 주된 화두는…

댓글: 0  조회수: 1

[2020.07.30전남일보]기후환경이야기·임낙평>2045년, 100% 재생에너지 도시, 광주

지난 2018년, 미국 캘리포니아가 기후위기의 해법으로 ‘2045년, 100% 재생에너지(RE) 도입’을 담은 주법을 제정했다. 이법에 따르면 캘리포니아는 ‘2026년 50%,…

댓글: 0  조회수: 0

[2020.03.15전남일보]기후환경 이야기>핵에너지는 미래 에너지원이 아니다

3월 11일, 후쿠시마 원전 참사 9주년. 9년 전, 최악의 원전폭발 사고가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했다. 당시 일본은 가동 중이던 50여기 원전 가동을 중단시켰고, 사고의 수습을…

댓글: 0  조회수: 0

[2019.01.07전남일보]기후환경이야기> 생명과 평화의 미래를 기약하는 한 해

새해가 밝아왔다. 이즈음이 되면 가장 많이 접해본 말이 희망, 소망, 건강이란 말이다. 만사형통, 운수대통이란 말도 많이 듣는다. 아무튼 모든 이들이 2019년 희망찬 새해…

댓글: 0  조회수: 0

[2018.10.24전남일보]2018년 국감 쟁점, ‘탈핵과 재생에너지 확대이슈’

2018년 국회 국정감사가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 이번 국감을 통해서 사립유치원비리나 공직채용 승계문제가 뜨거운 쟁점으로 부각되었고, 아마도 정부의 후속조치를 통해서 개선될…

댓글: 0  조회수: 0

[2018.07.10전남일보]우리가 가야할 ‘에너지 전환’의 길

석탄 석유 가스와 원자력을 가지고 21세기를 갈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21세기 우리 인류는 청정 신재생에너지로 가야한다. 비록 지금 우리가 20세기형 화석에너지와…

댓글: 0  조회수: 0

[2018.03.20 전남일보] 안전한 미래와 기후행동

2018 글로벌 위험보고서’, 지난 1월 말, 다보스포럼에서 발표된 바 있다. 포럼의 정식명칭은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매년 1월 말 스위스…

댓글: 0  조회수: 0

[2018.02.20.전남일보]지속가능한 도시의 교통체계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구현에 핵심적 요소의 하나가 교통체계이다. 교통은 도시의 혈맥이다. 혈맥이 부적합하면 도시의 활력과 경제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승용차의…

댓글: 0  조회수: 0

[2018.02.06. 전남일보] 지구를 좀먹는 일회용품

아프리카 케냐에서는 1회용 플라스틱 백(비닐 백)의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상습적으로 위반하는 사람은 징역까지 각오해야 한다. 최초로 플라스틱 백의 사용을 금지시킨 나라는…

댓글: 0  조회수: 1

[2018.01.23전남일보]재생에너지와 일자리 창출

미세먼지로 인한 고통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특히, 초미세먼지의 경우 특급 발암물질로 인간의 생명을 좀먹는 위협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대응책이 있어야 한다. 결코 반복되는 고통을…

댓글: 0  조회수: 0

[2018.01.09 전남일보]살맛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하여

2030년 혹은 좀 멀리 2050년 쯤 우리가 사는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 과거 30년 전과 비교해 보며 상상해볼 필요가 있다. 과거에 그랬듯이 도시는 공간의 변화, 교통수송,…

댓글: 0  조회수: 0

시민에너지발전소 활성화 방안 토론회 개최

오늘  ‘시민주도(참여) 에너지전환 기반 구축을 위한 연속 토론회’의 일환으로 ‘시민발전소 활성화 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광주광역시의회, 광주광역시,…

댓글: 0  조회수: 0

광주천아리랑문화물길사업으로 광주천이 살아날 수 있을까?

8월 26일(수) 오후2시, 광주광역시의회 5층 예결산특별위원회실에서 ‘광주 하수도 정책 개선 및 광주천 살리기 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광주환경운동연합과 광주광역시의회…

댓글: 0  조회수: 0

[회원모임]모래톱 ‘집중호우 이후 광주천의 민낯을 보다’

8월 23일(일) 광주천지킴이 모래톱 회원들과 함께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광주천을 돌아보았습니다. 광주천 상류 구간인 1구간(교동교~원지교)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진행한 결과…

댓글: 0  조회수: 0

[보도자료] 시민발전소 & 지역에너지지원센터 연속토론회 개최

시민에너지발전소 활성화 방안 모색 토론회 개최’   시민참여 에너지전환 기반 구축을 위한 연속 토론회 개최 – 주최 : 광주광역시의회, 광주광역시, 광주지역에너지전환네트워크…

댓글: 0  조회수: 0

[보도자료] 광주 하수도 정책 개선 및 광주천 살리기 토론회

‘광주 하수도 정책개선 및 광주천 살리기’ 토론회 개최   ‘광주광역시 하수도 정책 개선 및 광주천 살리기’ 토론회가 8월 26일(수) 오후 2시 광주광역시의회 5층…

댓글: 0  조회수: 0

(8/26)‘광주광역시 하수도 정책 개선 및 광주천 살리기’ 정책토론회

‘광주광역시 하수도 정책 개선 및 광주천 살리기’ 정책토론회   ○ 취지 및 배경 – 광주천 아리랑문화물길사업은 광주천 유량확보와 이에 따른 수질개선 목적을 담고 있음. –…

댓글: 0  조회수: 0

[회원모임]생태문화답사 해남삼편 두번째 이야기

8월 16일(일), 무더운 더운날 20명의 회원님들과 함께 생태문화답사 해남삼편 두번째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이번 답사의 주제는 ‘해남 땅끝 문학’으로 녹우당, 땅끝순례문학관,…

댓글: 0  조회수: 0

[보도자료] 광주환경운동연합, 광산구 1회용품 안쓰기 시민도전단 100인 모집

http://gj.ekfem.or.kr (61429)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254, 6층 ■전화 062)514-2470 ■팩스062)525-4294 / 총 2매 공동의장 박태규·…

댓글: 0  조회수: 0

영산강 홍수, 피해가 왜 커졌나?

7, 8일 집중 강우가 있었고  8일 오전 영산강 지류 문평천 제방이 터지면서,  나주 다시 지역 농경지와 가옥이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4대강사업이 다시 논란에…

댓글: 0  조회수: 0

[자원순환]광산구 쓰레기문제 해결단 현장워크숍

13일(수)에는 광주의 쓰레기들의 집결지이며 처리장소인 광주의 환경기초시설을 다녀왔습니다. 내가 버린 종량제봉투 쓰레기는 어디로 가는 것이며, 어떻게 처리 되고 내가 버린 음식물…

댓글: 0  조회수: 0

[자원순환]광산구 쓰레기문제 해결단 양성교육 두번째 이야기

11(화) 광산구 쓰레기문제 해결단 양성교육 2일차는 자원순환강사단 용용c의 신민정 강사의 올바른 분리배출_음식물 쓰레기편으로 시작했습니다. 생활속 음식물 쓰레기 가끔 헷갈릴때가…

댓글: 0  조회수: 0

[자원순환]광산구 쓰레기문제 해결단 양성교육 첫번째이야기

우리동네 쓰레기문제는 내가 책임진다 ! 광산구 쓰레기문제에 관심 있는 광산구민 30여명이 참여한 광산구 쓰레기문제  해결단 양성교육이 8월 10일(월) ~ 12일(수)에  …

댓글: 0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