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마을부엌 현장조사④ 로컬푸드 지역기반형_열린부뚜막
마을부엌 유형조사 네번째 사례로 ‘열린부뚜막’ 사회적협동조합이 운영하고 있는 마을부엌을 소개합니다…
마을부엌 유형조사 네번째 사례로 ‘열린부뚜막’ 사회적협동조합이 운영하고 있는 마을부엌을 소개합니다…
마을부엌은 개인의 문제에서 출발해 사회적 이슈의 대안을 만들고 다양한 계층에서 발생하는 먹거리 문제를 해결합니다.
지역공동체를 회복하고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불안정한…
9월 기후비상 집중행동의 달
환경정의 온라인 액션
작년 9월부터 6개월 간 이어진 호주 산불, 우리의 일상을 바꿔버린 코로나19,…
기후정의 연속 포럼
그린뉴딜 지역분권의 과제,
[4차] 분산에너지 로드맵 수립방안
♦ 기후위기 시대, 강력한 정책과 확고한 의지로 탈탄소사회로…
코로나19로 인하여 많은 것이 달라졌습니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하여 우리는 알게 되었습니다
지속가능하지 못한 일상을…
영주댐 수몰마을에서 쫒겨난 사람들 “아파트 하나 얻고, 삶은 송두리째 내줘”
개발사업으로 사라진 공동체 문화 자산, 삶의 근간 무너져…
개발정책에 대한 윤리적…
지금 질문하러 가기!
생활환경상담소 ‘질문하는 나무’는 일상생활에서 생겨나는 사소한 궁금증에서부터
어디에 물어야 할지 몰라 답답했던 생활환경 관련…
서울도시농부포털 기사 전문
공동체의 회복, 도시농업과 마을부엌은 어떻게 만날까
지난 8월…
마을부엌 유형조사 세번째 사례로 ‘꽃피는 신뢰’(이하 꽃신) 사회적협동조합이 운영하고 있는 마을부엌을 소개합니다…
[환경정의 편지]
인천 수돗물 유충이 보내는 신호,
불평등과 그린인프라
–
현경학(환경정의연구소 그린인프라위원회 위원장…
기후정의 연속 포럼
그린뉴딜 지역분권의 과제,
[2차] 지방정부 권한 확대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 기후위기 시대, 강력한 정책과 확고한 의지로…
그린뉴딜 지역분권의 과제 연속포럼
[1차] 기초지자체 권한 확대를 위한 재정 확보 방안
♦8월 5일(수) 14:00~16:30,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이전에는 총회와 재정 내용이 한 카테고리에서 정리되어 있었지만,
2018년부터는 환경정의 재정을 손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총회와 재정 카테고리를 분리시키고 월별…
/
환경정의는 시민들에게 환경책의 중요성을 알리고 시민들이 환경책을 보다 쉽게 다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매년 ‘새롭게 읽자, 다르게…
2019년 11월 22일 환경정의연구소 그린인프라위원회는 두 번째 포럼을 진행했습니다.
기후위기의 시대, 위기 극복을…
2019년 5월 31일, 레이첼카슨홀에서 환경정의연구소 그린인프라위원회가 창립포럼을 열었습니다.
창립포럼에서는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