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열린광장 태그글 모음

결과값: 301 - 325 of 370

[15] 인간과 자연을 재정의하는 환경인문학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을 위해 우리에게 요구되는 과제 가운데 하나는 인간을 ‘재발명’하는 일이다. 만물의 영장이자 자연의 정복자로 군림해온 인간이 지구생태계의 모든 존재와 평화롭게…

댓글: 0  조회수: 3

코로나 바이러스가 세계 정치지형을 뒤바꾸고 있다

FT 편집진 1348년 영국 해변가 마을인 Weymouth에 흑사병이라는 전염병이 상륙하면서 영국 인구의 30-50%가 사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세기 동안 지속된 대규모…

댓글: 0  조회수: 0

경제활동의 규범은 기업자신이 아닌 정부가 제공해야 한다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는 보유한 많은 Portfolio 사업을 진행하면서 아이오와 주에 있는 풍력 터빈 및 기반시설에 약 30억 달러를 투자해왔다.…

댓글: 0  조회수: 0

50년 역사의 ‘다보스 포럼’이 ‘트럼프’에게 구애하다

지난 1월 스위스 알프스에서 열린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 가장 놀라운 소식은 무엇인가? 억만장자들의 세계적인 연례 축제를 취재하는 기자들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댓글: 0  조회수: 0

한반도에서 소멸되어 가는 평화의 기회

2017년 1월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북한 관계는 핵전쟁 위기, 올림픽을 통한 관계 개선, 일련의 정상회담 및 협상 결렬 등 급속한…

댓글: 0  조회수: 0

이란 군사령관 폭살은 국제법상 명백한 불법

미국은 지난 1월 3일 바그다드 국제공항 외곽에서 거셈 솔레이마니 이란혁명수비대(IRGC) 사령관을 드론 공격으로 살해하여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나흘 뒤, 이란은 이라크…

댓글: 0  조회수: 0

[14] 아름다움과 생태문명의 창조

우리가 생태문명의 비전을 이야기할 때 우리는 반드시 아름다움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왜냐하면 다른 어떤 가치도 그 비전을 충분히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름다움은 삶의…

댓글: 0  조회수: 0

누가 결정하는가? – 고대 그리스 시민사회로 돌아보는 권력통제형 민주정치

1. 민주(民主)의 개념 간 보기 민주(民主)는 결정권의 주체를 뜻하는 것일 뿐, 선과 악, 법치주의와 무관하다 민중에 의한 정치(by the people): 민주는 ‘민중을…

댓글: 0  조회수: 0

[13] 생태문명, 고등교육, 아름다움의 생태학

화이트헤드의 『과정과 실재』에서 “강도”(intensity)라는 용어가 맡는 역할에 가장 상응하는 용어는 “아름다움의 힘”이다. … 물론 여기서 “아름다움”은 자연의 미적…

댓글: 0  조회수: 0

2020년 현재, 미군의 해외기지 철수가 왜 중요한가?

편집자 주: 최근 미행정부와 주한 미국대사 및 미군사령관 등의 발언과 행보는 대한민국이 군사적, 외교적으로 미국의 식민지라는 사실을 재확인해 주었다. 따라서 이제는 주한미군…

댓글: 0  조회수: 0

김정은 위원장이 한반도 상황을 주도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북한 핵무기 및 장거리 미사일 프로그램 중단을 위한 협상에서 “책임 있는 어른으로서” 행동하고 있다. 어른으로서 협상을 되돌리는 동시에 동북아에서 북한이 할 수…

댓글: 0  조회수: 0

이제는 일상적 사건이 되어버린 기후 대재앙

호주는 비극적인 산불 사태를 겪고 있다. 지난 몇 주 간의 호주의 모습은 악몽과도 같았다. 화염이 벽으로 형성되고, 하늘이 핏빛처럼 물들었으며 거주민들은 화재를 피하기 위해…

댓글: 0  조회수: 0

[12] 커먼즈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공유지의 비극”을 넘어 기후변화는 “공유지의 비극”으로 볼 수 있으며 커먼즈 운동은 21세기의 사회적, 생태적 시스템 붕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책을 제공한다는 게…

댓글: 0  조회수: 0

20 주년을 맞이한 한중일 협력사무국 체제

지난 해로 한-일-중 협력체제가 출범한 지 20주년을 맞았다. 일상적 하루였던 1999년 11월 아침, 마닐라에서 열린 10+3 정상회의와는 별도로 조찬 회동이 열렸고, 한중일…

댓글: 0  조회수: 0

외교 정책과 도덕

필자가 한 친구에게 도덕과 외교 정책에 관한 책을 집필했다고 전하자, 그녀는 “아주 짧은 소개서 이겠구나”라고 빈정거렸다. 이러한 회의론은 일반적이다. 놀랍게도 인터넷 검색을 해…

댓글: 0  조회수: 0

[11] 사회적 경제의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문제는 경제다 “어떻게 바라보고 무엇을 느낄 것인가. 그것은 정보의 문제도, 지식의 문제도 아니고 나 자신에 대한 성찰의 문제이다.” 오래 전 책을 읽다가 메모해둔 구절이다.…

댓글: 0  조회수: 0

21세기 민주주의의 조락

“불행하게도 권력을 얻고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자질은 능력과 공정성으로 통치하는데 필요한 자질과 거의 관련이 없습니다.”– 장 프랑수아 레벨(Jean-François Revel…

댓글: 0  조회수: 0

다가오는 경기 침체, 그린 뉴딜이 해답이다

기후 파업 참가자들이 도보 행진을 하고 보수 정당들이 퇴조하고 있는 가운데 진정한 시스템 변화를 이룰 수 있는 확실한 기회를 손에 얻었다. 미국의 패권적 강짜, 브렉시트라는 암초…

댓글: 0  조회수: 0

모자람의 지혜와 무심의 공존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1972년 로마클럽의 보고서 『성장의 한계』가 발표된 이후, 경제성장 위주로 달려오던 현대 문명이 지속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구환경이…

댓글: 0  조회수: 1

불확실성: 2010-2020년 간에 일어난 변화들

우리는 새로운 10년(decade)의 시작에 들어 왔다. ‘20년대’가 시작되면서 대다수 사람들은 20년대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게 되었다. 현대사에서 매 10년은 더 포괄적인…

댓글: 0  조회수: 0

생태교육을 위한 패러다임 재구축

기후위기에 따른 생태교육의 시급성 최근 수년간 급격한 기후변화와 전지구적 생태계 파괴를 경험하고 있는 이 시대의 인류는 불안한 마음으로 디스토피아가 다가옴을 지켜보거나 애써…

댓글: 0  조회수: 0

계속되고 있는 홍콩 위기의 전망

편집자 주: 다른백년은 그 동안 워싱턴 프레임이라는 관점에서 홍콩사태를 보도해온 국내 언론의 한계를 벗어나, 독일에서 연구중인 중국본토의 젊은 학자의 시각과 미국 내 진보적인…

댓글: 0  조회수: 0

세계무역은 국가이기주의가 아닌 인류와 세상을 위해 이루어져야

다자간 무역 시스템의 붕괴에 대해 흔히 맥이 빠지는 기사 헤드라인 너머의 현실에서는 다행히 각국 정부들과 기업들이 세계무역기구(WTO) 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댓글: 0  조회수: 2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에 접근하고 있는 기후위기

4년 전 파리에서 행해진 기후 변화 협약이 이번에는 12월 1일부터 2주간 마드리드에서 이루어 졌다 (불행하게도 모임은 회기를 연장하면서 강제성 있는 합의를 도출하려 하였으나…

댓글: 0  조회수: 0

솔레이마니 폭살 : 미제국 야망의 몰락을 예고하다

편집자 주: 아래 기사는 전 CIA 테러 대응 전문가이자 터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에서 19년간 근무한 군사 정보 장교인 필립 지랄디 (Philip Giraldi)가…

댓글: 0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