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 2021년 일제 강제동원 관련 학술 연구논문 공모
2021년 일제 강제동원 관련 학술 연구논문 공모 바로가기
[국가기록원 공고 제2021-35호]
2021년 일제 강제동원 관련 학술 연구논문 공모
[첨부파일] [공고안]…
2021년 일제 강제동원 관련 학술 연구논문 공모 바로가기
[국가기록원 공고 제2021-35호]
2021년 일제 강제동원 관련 학술 연구논문 공모
[첨부파일] [공고안]…
[공유 링크] [보도자료]
일시 : 2021년 6월 21일(월) ~ 7월 2일(금), 평일 12:00~13:00
장소 : 서울법원종합청사 동문(교대역 10번 출구)
발신…
☞ (6.15) ‘내역사’ 시즌 6: 8화: “비핵화 프레임을 넘어 종전선언으로(1)
☞ (6.14) ‘내역사’ 시즌 6: 7화: 긴급편성 “역사부정주의 논리를 담고 있는 6월…
[세상읽기] 임재성ㅣ변호사·사회학자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의 입장은 익히 잘 알고 있다. 1965년 청구권협정으로 다 끝난 일인데 피해자들이 왜 소송으로 뒷북을 치냐는…
■ 프로그램명 : 다큐인사이트
■ 방송일시 : 2021년 6월 17일 (목) 22:00~22:50 KBS 1TV
■ 연출 : 임청조
■ 글,구성 : 신지현
죽음을 죽음으로 덮은…
‘이승만·트루먼 동상건립추진 모임’ 칠곡에 건립 추진
이승만 동상(왼쪽)·트루먼 동상. 경북도 제공
민간단체에 의해 제작된 뒤 수 년째 설치 장소를 찾지 못하고 있는 이승만 전…
문재인 대통령이 스페인 상원 도서관에 보관된 ‘조선왕국전도’를 보고 있다.ⓒ청와대 제공
스페인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스페인 상원 도서관에 보관된 17세기 조선 지도를…
시청 앞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 연일 경신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지부장 박종선)가 펼치고 있는 ‘역곡 고택 단죄비’ 1인 릴레이 시위가 지난달 18일부터 오늘(17일 사진)까지…
[성명서][다운로드]
부천시민단체 연대
< 성 명 서 >
제목 : 국회는 강제동원 피해자들에 대한 반역사적, 반헌법적 판결을 한 김양호 판사를 탄핵하라!
지난 6월 7일…
[안성 양성중학교]
도교육청 주관 탐구활동 목적 진행
‘친일파’ 김성태 곡 “개정해야” 92%
학내공모 실시 3학년생 작품 당선
작곡과정 거쳐 1학기내 완성 예정
▲ 학생들이…
민족문제연구소 소장
문학평론가
임헌영의 문학강좌
[러시아 문학기행]
– 톨스토이(1) 위대한 톨스토이
주최 : 한국산문
제작 : 민족문제연구소
생활 깊숙이 뿌리박힌 ‘일제 그림자’ 이젠 걷어내자상명하복·서열주의 등 일본제국주의 관행 영향일제강점기 역사관 ‘식민사관’ 대표적 무형잔재항일지사들 국학연구 병행해 식민사관과…
오키나와 전투 격전지에서 미군기지 건설용 매립재 채취 추진
일본 정부 “채취 장소 미정…유골 안 들어가도록 눈으로 확인”
일본 오키나와(沖繩)현 소재 미군 후텐마(普天間) 비행장…
[짬]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대종교를 중광해 독립운동가들의 스승으로 불렸던 홍암 나철의 일대기인 을 낸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조현 기자
청산리전투의 김좌진, 봉오동전투의…
☞ (6.08) ‘내역사’ 시즌 6: 6화: ‘사랑도 발명이 되나요?”의 저자 김형민피디와 함께
☞ (6.01) ‘내역사’ 시즌 6: 5화: 민족문제연구소 30주년…
▲ 민족문제연구소 천안, 임종국 선생 기념관 건립 추진 위한 ‘친일청산 역사문화 탐방’ © 뉴스파고
[뉴스파고=한광수 기자] 민족문제연구소 천안지회(지회장 최기섭)는 5월 22일…
▲ 1987년 인천 6월 항쟁의 중심지인 부평역 광장에는 ‘6월 민주항쟁 30주년 인천조직위원회’가 건립한 기념 표석이 자리 잡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인천지부(지부장·김재용)는…
민족문제연구소는 2017년 『항일음악 330곡집』을 발간한 이후 개최 등 항일음악 보급을 통한 독립정신 선양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YTN 라디오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자문을 받아…
(대전=연합뉴스) 조성민 기자 = 대전시교육청은 학교 내 일제 잔재로 여겨지는 교목, 교가 등에 대한 청산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부터 학교상징 등에…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사무국 : 민족문제연구소)는 신흥무관학교 설립 110주년 기념을 맞아 온라인 기념식을 하였습니다.
경술국치 이후 빼앗긴 국권 회복을 위해 서간도에 세워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