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경기 12개 공립학교에 친일인사 공덕비 남아 있어”
경기교육청 전수조사…21개교 교표엔 친일 잔재 확인
(수원=연합뉴스) 이영주 기자 = 경기도교육청은 학교 내 유·무형으로 남아있는 일제 잔재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청산하는…
경기교육청 전수조사…21개교 교표엔 친일 잔재 확인
(수원=연합뉴스) 이영주 기자 = 경기도교육청은 학교 내 유·무형으로 남아있는 일제 잔재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청산하는…
14일 대전MBC ‘항일음악 6천곡 대발굴’ 다큐 방송
항일음악 ‘거국행’ 악보. ‘거국행’은 도산 안창호 선생이 1920년 4월 미국에 독립군 진영을 만들기 위해 조국을…
박정희, 백선엽, 김성수, 방응모 등 친일파 153명 다뤄…”친일문제, 존재하는 그대로 봐야”
▲ 박시백 화백의 역사만화 “친일파 열전”(민족문제연구소 기획, 비아북 펴냄)…
고(故) 서정우 씨의 강제동원 피해 증언 영상이 나오고 있다. [사진=민족문제연구소 확보 자료]
[일요서울ㅣ김혜진 기자] 일본의 식민지배로부터 해방된 지 올해로 76년째다. 오랜…
김남주 민변 베트남전TF 팀장 인터뷰① “문재인 정부, 사안 해결의지가 없어 보인다”
“저는 8살 한국군에 의해 (가족이) 학살당했고, 그 학살로 많은 가족을 잃고 혼자 오랜시간…
[현장] 논산 연산면 송정리 주민들의 오래된 분노… 국토부 “미래의 교통량 증가에 대비”
▲ 백제 오천결사대가 나당연합군과 최후까지 싸운 전적지로 알려진 황산벌 유적지가 있는…
친일 행적을 남긴 문화예술계 인사들 중 광복 이후에 사과한 사람이 없었다. 일본은 지금 모든 고등학생에게 독도를 되찾아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부끄러운 과거사를…
민족문제연구소 소장
문학평론가
임헌영의 문학강좌
[러시아 문학기행]
– 톨스토이(8) 부활의 사상
주최 : 한국산문
제작 : 민족문제연구소
김동우 글·사진 | 수오서재 펴냄 | 2021. 07. 29. | 값 20,000원 | 440쪽 | 150*216(신국판변형(양장) | ISBN 979-11-90382-43-4…
김태림 앵커>
‘8.15 광복절’이 다가오고 있지만 일본의 역사 왜곡이 여전합니다.
세계유산에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아 유네스코의 비판을 받았는데요.…
일본대사관 앞서 한달 간 1인시위… 첫날 한국YMCA전국연맹사무총장·천도교청년회장 참여
▲ 이재선 천도교청년회장이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1인시위를 하고…
[대전 골령골 유해발굴 현장취재기] 40여 일간 찾은 유해만 400여 구, 이번 주 1차발굴 마무리
▲ 주말에 비가 내렸지만, 다행히 유해 발굴지는 비 피해가 전혀 없었다. 비…
[다운로드][성명]
나눔의집, 불법비리, 인권침해 사태는 여전히 해결과정에 있다.
정치인들은 경거망동 자제하라!
나눔의 집 문제를 왜곡하는 정치인들의 언행을 규탄한다.
월주스님…
박시백 지음 | 민족문제연구소 기획 | 비아북 펴냄 | 2021. 08. 9. | 값 16,000원 | 300쪽 | 170*235 | ISBN 979-11-91019-44-5 (…
진주 민간인 학살 유족 증언록
사진 진주시 명석면 명석고개 진주지역 유해 임시 안치소.
올해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1주년이다. 전쟁과정에서 남북한에 걸쳐 수많은 전사자와…
2021년 7월 28일[주진우 라이브] KBS 1 Radio FM 97.3MHz 월-금 17:05~19:00
▷[훅인터뷰]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 일본 군함도…
김민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l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
김민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모처럼 상식적인 이야기가 중국에서 전해졌다. 지난 7월 16일부터 코로나19로…
[후원회원 마당]
잊으면 잃고, 잃으면 잊혀질 역사와 진실
김지형
민족문제연구소(이하 ‘민문연’)를 만나러 가는 길, 휴대전화를 분실했습니다. 다행히 습득하신 분과…
[후원회원 마당]
6월 후원회원 초대의 날 후기
명준형
사실 처음에는 가기를 망설였다. 애초에 나는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서 남들보다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후원회원 마당]
이육사의 삶과 문학
김유 중국 광동지부장
한복을 입은 이육사 선생(앞줄 오른쪽)의 젊은 시절 모습. 뒷줄에 한복 입은 이는 바로 밑의 동생인 이원일…
[후원회원 마당]
기억하니까 사람이다
정해랑 주권자전국회의 공동대표
2014년 4월 16일
우리는 사람이길 포기했다
우리 애가 저깄어요
우리 애가 저깄단 말예요
울부짖는…
[식민지비망록 72]
일제패망기의 학교운동장이 고무공 천지로 변한 까닭은?
일본의 남방군(南方軍)이 보내온 침략전쟁의 전첩기념선물
이순우 책임연구원
초등학교 2학년 때…
[인터뷰]
일제잔재 청산 조례를 앞장서 발의한 김영진 경남도의원
인터뷰 : 방학진 기획실장
전국적으로 친일 및 일제잔재 청산을 위한 지자체의 조례는 18개로 모두 3·1운동…
[초점]
강제동원증언전 개막
• 최우현 학예실 주임연구원
피해자들의 목소리로 일본의 산업유산 시설이 지워버린 강제동원·강제노동의 역사를 ‘증언’하는 기획전 가 7월 16일(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