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세계의 시각 태그글 모음

결과값: 176 - 200 of 321

세계의 지축을 흔드는 삼중 위기

이제 코로나 팬데믹은 제2의 단계로 접어들면서, 많은 국가들이 경제활동을 재개하고 거리두기에 대한 통제를 완화하거나 일부에서는 통제조차 거부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전히 일반적인…

댓글: 0  조회수: 0

이란이 결코 무너지지 않는 이유

이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이슬람공화국은 COVID-19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을까? 미국의 무자비한 압박에 어떻게 버티고 있을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댓글: 0  조회수: 0

북한이 트럼프와 추가적인 대화를 거부하는 배경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4일 북한은 당분간 미국과 마주 앉을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외무성 최선희 부상이 언급했다. 그녀에 의하면 미국과 대화를 하는 것은 워싱턴의 자신들을 위한…

댓글: 0  조회수: 0

일본은 중국에서 상반된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일본은 최근 Daiaoyu(일본명 센코쿠)열도와 미국의 Aegis미사일방어 시스템의 일본 내 배치와 관련하여 상반된 신호를 중국에 보내고 있다. 분쟁을 야기하는 현안의 열도와…

댓글: 0  조회수: 0

일본과 올림픽 그리고 팬데믹 상황

일본의 하계국제올림픽 개최여부는 혼선과 귀환 이상의 대사건이다. 이미 일본에게는 1940년에 동경에서 개최하기로 예정되었던 올림픽이 전쟁으로 취소된 경험이 있다. 1896년…

댓글: 0  조회수: 0

일본에 불어 닥친 삼중고의 경제충격

일본은 지난 일년 반 동안 연속적으로 세 번의 경제적 충격을 겪고 있다. 첫 번째 것은 미중 간의 통상전쟁으로 일본의 제조업 분야에 심각한 타격을 가하면서 경제성장 속도를…

댓글: 0  조회수: 0

팬데믹 와중에도 최저임금은 반드시 인상되어야 한다

편집자 주: 팬데믹 상황은 모두의 협력과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가르쳐 주고 있으며, 기존의 불평등과 부정의한 사회구조를 변혁할 일대의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세계…

댓글: 0  조회수: 0

미국의 합법성 위기 – 자본주의와 경찰 강제력

미국합중국은 코로나 팬테믹을 대응하는 과정에서 봉쇄정책과 인종차별의 폭력이 발생하면서 합법성의 위기를 겪고 있다. 조지 플로이드의 살해, 그리고 확인되지 않은 몇 건의 경찰에…

댓글: 0  조회수: 0

미국산업의 조속한 회복은 환상이다

항의시위가 미국전역에 넘쳐나는 가운데, 중도좌파적 경향을 지닌 경제학자들은 투시경을 통해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오바마시절 백악관의 경제자문단을 이끌었던 하버드 대학의…

댓글: 0  조회수: 0

트럼프 대통령의 비열한 추락(Weakest Strongman)

만약 독자 여러분이 미국 시민들의 항의시위가 우리를 어디로 안내할 지 안다면, 필자인 나보다 매우 명석한 것이다. 고백하건대, 정부의 강압적 기구들과 맞서 싸우고 있는 대중의…

댓글: 0  조회수: 0

아시아의 동맹들은 미국을 향한 신뢰에 회의를 가진다

지난 주 서울의 미대사관에는 Black Lives Matter(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라는 기습시위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사실은 주한미군 분담금의 5배 인상을 요구한 도날드…

댓글: 0  조회수: 0

미국의 경찰예산을 삭감하고 국방비를 줄이자

지난 달 미네아폴리스에서 조지 플로이드가 경찰에 의해 무자비하게 살해당하자, 시민운동가들과 시위참석자들은 ‘경찰의 예산을 삭감하라’고 요구하기 시작했고, 미네아폴리스 시의회는…

댓글: 0  조회수: 0

미국의 패권에 조종을 울리다

미국이라는 합중국은 출발부터 문제투성이였다. 스스로 자국시민들에게 권리와 자유를 부여했다고 자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대량학살과 노예제도 위에서 건국되었고, 이러한 과거의…

댓글: 0  조회수: 0

하이난(海南)섬을 국제거점으로 만들려는 중국의 계획

편집자 주: 베트남 북부와 가까이 위치한 하이난 섬의 총면적은 33만 평방킬로미터로 경상남북도를 합한 면적보다 조금 작고 제주도의 18배에 달하는 광활한 지역이다. 인구는 8-…

댓글: 0  조회수: 0

미보수언론들의 황당함 : 이제는 북한-게이트이다

편집자 주: 북한이 개성에 있던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하자, 미국 우익의 주류언론들이 마치 때를 기다렸다는 듯이 북한에 대한 온갖 거짓 기사들을 조작하여 보도하고 있다. 이러한…

댓글: 0  조회수: 0

영국은 홍콩에 대해서 말할 자격이 없다

156년 동안 홍콩을 완벽하게 통치해 왔던 영국의 의회가 중국의 국가안전법을 ‘홍콩에 대한 전제적 강압’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지난 2세기 동안 지역에 대해…

댓글: 0  조회수: 0

미국의 제재가 홍콩경제에 미치는 영향

편집자 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행정부가 홍콩에 부여한 무역의 특별한 지위를 중단하는 제재조치에 착수했다고 선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제재가 홍콩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호주의…

댓글: 0  조회수: 0

홍콩의 자치권과 중국인민대표자회의(NPC)

홍콩의 미래는 암울하지만, 아직은 포기할 시점이 아니다. 그 동안 홍콩은 중국과 세계를 연결하는 핵심적 역할을 맡아 왔다.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에 홍콩은 결코 자치적일 수 없고…

댓글: 0  조회수: 0

당중심의 중국헌법에서 차지하는 인민대표자회의의 역할

지난 수십 년간 중국인민공화국은 일년에 인민대표자회의(NPC)와 인민정치협상회의(CPPCC)라는 두 개의 회의를 동시에 개최하는 것이 관례가 되어왔다. 양회로 불리는 두 개의…

댓글: 0  조회수: 0

미들파워로서 한국의 미래적 위상

편집자 주: 아래의 칼럼은 한국 유수한 대학의 국제대학원에 재직중인 미국인 교수가 한국의 정치와 외교에 던진 조언의 글이다. 한반도상황과 동아시아에서 한국이 주도적 역할을…

댓글: 0  조회수: 4

미국은 붕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붕괴되었다

오늘의 미국을 보라, 단지 죽음이라는 단어로 규정되는 나라가 되었다. 사람들은 병상이나 자신의 침상에서 외로이 죽어가고 있고, 또는 길거리에서 살해당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댓글: 0  조회수: 0

99% 시민들이 걱정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이다

‘부자들에게 세금을!’은 진보적 정치집단이 흔히 외치는 슬로건이고, 경제적 불평등은 노벨상 수상자들과 국제정책을 주도하는 유명인사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주제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댓글: 0  조회수: 0

유럽연합은 ‘미국주도 세계질서가 끝나고 있다’고 판단한다

편집자 주: 미국(국무부)이 의도하는 G7+가 반중 연합인줄 알면서도 어쩔 수없이 참여해야 한다면, 국익을 위해 이를 상쇄하는 Counter-Balance를 구상하고 실행해야…

댓글: 0  조회수: 0

한국 내 유엔사-재강화(revitalization) 전략에 대한 우려

서울과 워싱턴 간에 방위비분담에 대한 협상이 어려움에 봉착한 가운데, 한국내의 유엔사령부(UNC)의 역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소위 유엔사-재활성화(revitalization…

댓글: 0  조회수: 0

팬데믹 와중에 WHO 개혁요구는 위험한 짓이다

COVID-19는 단순히 의료분야뿐만 아니라 국제정치에도 위기를 불러오면서, 이로 인한 긴장이 코로나바이러스에 퇴치하려는 국제적 협력의 노력에 큰 장애를 형성하고 있다.…

댓글: 0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