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3] 2017년 경제정의실천시민상 시상식
2017년 경제정의실천시민상 시상식
◎ 경제정의실천시민상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989년 11월 창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사회의 경제정의와 사회정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신 개인이나…
2017년 경제정의실천시민상 시상식
◎ 경제정의실천시민상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989년 11월 창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사회의 경제정의와 사회정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신 개인이나…
촛불1주년 집담회
"촛불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지난해 10월말부터 시작된 촛불은 해를 넘겨 23차례 동안 많은 것을 이뤄냈습니다. 뜨거운 겨울을 견딘 촛불은 박근혜…
촛불1주년 집담회
"촛불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지난해 10월말부터 시작된 촛불은 해를 넘겨 23차례 동안 많은 것을 이뤄냈습니다. 뜨거운 겨울을 견딘 촛불은 박근혜…
개헌 특위는 과연 지금 어디까지 와 있나?
촛불 1주년을 기념하며
하태훈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촛불은 계속된다.' 촛불 1주년 기념 집회의 주제다…
개헌 특위는 과연 지금 어디까지 와 있나?
촛불 1주년을 기념하며
하태훈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촛불은 계속된다.' 촛불 1주년 기념 집회의 주제다…
시민은 '유권자'가 아니라 '주권자'다
대의제는 한국 민주주의의 공리인가?
진시원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촛불집회 이후 민주개혁 정부가 다시…
시민은 '유권자'가 아니라 '주권자'다
대의제는 한국 민주주의의 공리인가?
진시원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촛불집회 이후 민주개혁 정부가 다시…
지난 겨울 시린 손을 불어가며 새로운 사회를 외쳤던 시간들이 생각납니다!
촛불 1년, 지난 1년을 돌아보며 우리가 만들고자 했던 새로운 사회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는…
지난 겨울 시린 손을 불어가며 새로운 사회를 외쳤던 시간들이 생각납니다!
촛불 1년, 지난 1년을 돌아보며 우리가 만들고자 했던 새로운 사회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는…
먼저 제작진의 고백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편집은 어느 때보다 힘들었습니다. 60일 동안 백기완을 촬영한 분량은 1,789분입니다. 30시간에 가깝습니다…
먼저 제작진의 고백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편집은 어느 때보다 힘들었습니다. 60일 동안 백기완을 촬영한 분량은 1,789분입니다. 30시간에 가깝습니다…
먼저 제작진의 고백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편집은 어느 때보다 힘들었습니다. 60일 동안 백기완을 촬영한 분량은 1,789분입니다. 30시간에 가깝습니다…
먼저 제작진의 고백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편집은 어느 때보다 힘들었습니다. 60일 동안 백기완을 촬영한 분량은 1,789분입니다. 30시간에 가깝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주 뉴욕 유엔총회 연설은, 오늘날 남한이 국제사회에 제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몇 가지를 포함한다. 풍요롭고 성장하는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중견국가 한국이…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주 뉴욕 유엔총회 연설은, 오늘날 남한이 국제사회에 제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몇 가지를 포함한다. 풍요롭고 성장하는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중견국가 한국이…
지난 8일 제주도민들이 다시 촛불을 들었습니다. 제주도민들이 모여 외쳤습니다. 지난 겨울이 중앙정치를 바꿨다면 이번 여름의 촛불은 지역정치를 바꾸기 위한 촛불이 될 것이라고요.…
지난 8일 제주도민들이 다시 촛불을 들었습니다. 제주도민들이 모여 외쳤습니다. 지난 겨울이 중앙정치를 바꿨다면 이번 여름의 촛불은 지역정치를 바꾸기 위한 촛불이 될 것이라고요.…
‘촛불광장’의 민주주의와 새 정부 탄생의 의미를 되새기다
참여사회연구소 반년간지 《시민과세계》 30호 발간
특집기획 <촛불광장에서 민주주의의 미래를 읽다…
‘촛불광장’의 민주주의와 새 정부 탄생의 의미를 되새기다
참여사회연구소 반년간지 《시민과세계》 30호 발간
특집기획 <촛불광장에서 민주주의의 미래를 읽다…
재미동포간담회 후기, 문재인 대통령께 바라는 교민의 편지 – 문재인 대통령님께 드리는 글 – 우리는 왜 세월호 활동을 해야 했는가 – 언제든 다시…
재미동포간담회 후기, 문재인 대통령께 바라는 교민의 편지 – 문재인 대통령님께 드리는 글 – 우리는 왜 세월호 활동을 해야 했는가 – 언제든 다시…
이전의 글(“일본군 위안부, 한국 시민의 힘 느꼈다”)에서는 종군위안부의 문제와 한국 민중운동의 승리에 대해 썼습니다만 이번에는 이전과는 반대 관점, 즉 정부측 관점에서…
이전의 글(“일본군 위안부, 한국 시민의 힘 느꼈다”)에서는 종군위안부의 문제와 한국 민중운동의 승리에 대해 썼습니다만 이번에는 이전과는 반대 관점, 즉 정부측 관점에서…
서울KYC 근현대사 아카데미올해는 "광장민주주의"를 이야기 합니다.지난겨울부터 봄까지 이어진 촛불, 촛불의 시작은 아마도 세월호참사였을겁니다. 5월, 세월호가 올라온 목포 답사를…
서울KYC 근현대사 아카데미올해는 "광장민주주의"를 이야기 합니다.지난겨울부터 봄까지 이어진 촛불, 촛불의 시작은 아마도 세월호참사였을겁니다. 5월, 세월호가 올라온 목포 답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