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주요기사 태그글 모음

결과값: 51 - 75 of 1237

[오마이뉴스]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 진상 조사하고 공식 사과하라”

일본대사관 앞서 한달 간 1인시위… 첫날 한국YMCA전국연맹사무총장·천도교청년회장 참여 ▲ 이재선 천도교청년회장이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1인시위를 하고…

댓글: 0  조회수: 0

[오마이뉴스] 천막 들추자 유골밭… 모습 드러낸 40m 학살구덩이

[대전 골령골 유해발굴 현장취재기] 40여 일간 찾은 유해만 400여 구, 이번 주 1차발굴 마무리 ▲ 주말에 비가 내렸지만, 다행히 유해 발굴지는 비 피해가 전혀 없었다. 비…

댓글: 0  조회수: 0

[만화책] “친일파 열전” / 박시백, 민족문제연구소 기획

박시백 지음 | 민족문제연구소 기획 | 비아북 펴냄 | 2021. 08. 9. | 값 16,000원 | 300쪽 | 170*235 | ISBN 979-11-91019-44-5 (…

댓글: 0  조회수: 0

[단디뉴스] 학살된 사람들, 남겨진 사람들⓶ ‘진주국민보도연맹 대학살 사건’

진주 민간인 학살 유족 증언록 사진 진주시 명석면 명석고개 진주지역 유해 임시 안치소. 올해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1주년이다. 전쟁과정에서 남북한에 걸쳐 수많은 전사자와…

댓글: 0  조회수: 0

[KBS 1 Radio] [주진우 라이브] “일본의 군함도 역사왜곡, 더이상 국제사회에 통하지 않아… 유네스코 권고 이행해야”

2021년 7월 28일[주진우 라이브] KBS 1 Radio FM 97.3MHz 월-금 17:05~19:00 ▷[훅인터뷰]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 일본 군함도…

댓글: 0  조회수: 0

[정책브리핑] [기고] ‘군함도’ 국제 약속 안지킨 일본, 고립을 자초하다

김민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l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 김민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모처럼 상식적인 이야기가 중국에서 전해졌다. 지난 7월 16일부터 코로나19로…

댓글: 0  조회수: 0

[오마이뉴스] 춘향 영정 공모하겠단 남원시… 납득할 수 없는 이유

[주장] 최초 지역축제 춘향제 위상, 최초 영정 돌려놔야 제대로 정립 ▲ 최봉선과 춘향사당 1931년 춘향제를 시작한 남원권번 으뜸 기생 최봉선과 전국의 권번과 남원 시민들의…

댓글: 0  조회수: 0

[연합뉴스] 시민사회 원로들 “日간토학살 진상규명·추모사업해야”

간토대지진 희생 조선인 추도 비문 1923년 9월 간토대지진 당시 일본인의 폭동으로 희생된 조선인 6천여 명을 추도하는 도쿄도 위령당 내의 비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댓글: 0  조회수: 0

[오마이뉴스] ‘욱일기’ 삭제 스위스 게임업체 “의도하지 않았다” 사과

[보도 그 후] ‘미니풋볼’ 제작사, 메일로 입장 보내와… “한국인에 상처될 줄 몰랐다” ▲ 전세계적으로 천만 명 이상이 다운받은 “미니풋볼” 게임에 등장한 욱일기. 경기장…

댓글: 0  조회수: 0

[경기신문] 일제잔재 청산, 지속적 실천운동 돼야

경기도, 친일잔재 청산 관련 조례 발의… 2019년 9월 18일 도내 유·무형 문화유산 대상, 잔재 조사연구 용역… 지난해 4월 완료 이재명 경기지사, ‘2021년 경기도…

댓글: 0  조회수: 0

[한겨레] “일, 군함도 역사왜곡은 침략전쟁 인정 않겠다는 것”

[한겨레S] 기획인터뷰/신카이 도모히로 강제연행 재판 지원모임 사무국장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결정문 채택 “군함도 강제노역 피해 외면 유감” 일 강제동원 피해 규명 활동 시민들 “…

댓글: 0  조회수: 0

[프레시안] 철거냐 존치냐, 서울 복판 박정희 흉상을 보며

[손호철의 발자국] 59. 서울 문래근린 공원 : ‘역사전쟁의 현장’ 5‧16쿠데타의 발상지 “자, 이제 작전을 시작합시다.” 1961년 5월 16일 새벽. 서울 영등포구…

댓글: 0  조회수: 0

[경향신문] 유네스코, ‘일본 군함도 왜곡’ 결정문 만장일치 채택

일본 나가사키 하시마(군함도) 전경. 김영민 기자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위원회가 일본이 ‘군함도’(하시마·端島) 등에서 벌어진 조선인 강제노동의 역사를 제대로 전달하지…

댓글: 0  조회수: 0

[YTN라디오] 독립군가 복원 프로젝트 : 100년의 소리 1~24편

민족문제연구소는 2017년 『항일음악 330곡집』을 발간한 이후 개최 등 항일음악 보급을 통한 독립정신 선양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YTN 라디오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자문을 받아…

댓글: 0  조회수: 0

[프레시안] 4‧19기념탑에 새겨진 ‘친일‧친독재’ 흔적들

[손호철의 발자국] 57. 서울 4‧19 묘지 : 4‧19탑은 왜 수유리 골짜기에 있는가? 1995년 해방 50년을 맞아 보수언론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였다…

댓글: 0  조회수: 0

[JTBC] “개 패듯 패고 강제로 끌고가” 강제동원 피해자 새 증언

조선인 차별 없었다는 일본 주장 반박   [앵커] 일본의 군함도 역사 왜곡을 지적하는 유네스코 결정문이 오늘(16일)부터 열리는 온라인 회의에서 채택될 예정인데요. 우리나라와…

댓글: 0  조회수: 0

[연합뉴스] 피해자 육성 담은 ‘일제 강제동원’ 전시회 서울서 개막

민족문제연구소 “세계유산위, ‘일본에 유감 표명’ 결정문 채택해야” 강제동원의 역사를 전시하라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댓글: 0  조회수: 0

[YTN라디오] 독립군가 복원 프로젝트 : 100년의 소리 1~23편

민족문제연구소는 2017년 『항일음악 330곡집』을 발간한 이후 개최 등 항일음악 보급을 통한 독립정신 선양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YTN 라디오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자문을 받아…

댓글: 0  조회수: 0

[오마이뉴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슬픈, 그러나 자랑스러운 시위”

1500차 수요시위 옛 일본대사관 앞서 열려… 방역지침 따라 1인시위 형식으로 진행 ▲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 14일 낮 서울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500회 수요시위에서…

댓글: 0  조회수: 0

[한겨레]“학교 안 일제 잔재,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전북교육정책연구소, 일제 잔재 현황 파악 25곳 학교 교가 친일 인물 작곡 또는 군가풍 전북지역 학교 안 일제 잔재 현황을 연구한 보고서 표지. “학교 안 일제 잔재 어디까지…

댓글: 0  조회수: 0

[YTN라디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군함도’, ‘희생자들을 위한 후속 조치’ 일본은 왜 안 지키나요?”- 김승은 민족문제연구소 학예실장

YTN라디오(FM 94.5) [YTN 뉴스FM 슬기로운 라디오생활] □ 방송일시 : 2021년 7월 13일 (화요일) □ 진행 : 최형진 아나운서 □ 출연 : 김승은…

댓글: 0  조회수: 0

[성명] 해외동포를 대상으로 한 국정원의 정치개입을 강력히 규탄한다.

[다운로드][성명] 국정원 재일동포 여권발급 공작사건에 대한 시민사회 규탄 성명 해외동포를 대상으로 한 국정원의 정치개입을 강력히 규탄한다. 정부는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고…

댓글: 0  조회수: 0

[부천타임즈] 부천민족문제연구소, 친일반민족 행위자 박제봉 단죄비 세워야

▲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는 친일반민족행위자 박제봉의 단죄비(斷罪碑)를 세우고 일제 잔재 청산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대책을 세우라고 주장하며 시청 입구와 부천시청역 그리고…

댓글: 0  조회수: 0

[오마이뉴스] 유네스코, 일본에 “군함도 강제노동 부정 강한 유감”

공동조사단 조사 결과… “충실한 이행 촉구” 결정문 홈페이지에 게재 ▲ 일제 강점기 한국인들의 강제노역이 행해졌던 군함도. ⓒ 위키백과 유네스코가 일본이 ‘군함도’ 등…

댓글: 0  조회수: 0

[프레시안] 수난의 반민특위, 표시석도 찬밥 신세

[손호철의 발자국] 54. 서울 명동 : 이승만에 의해 좌절된 친일 청산의 꿈 ‘저승사자’. 김근태 의원을 고문을 해서 감옥살이를 했던 고문기술자 이근안의 별명이다. 하지만…

댓글: 0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