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후기 태그글 모음

결과값: 151 - 175 of 285

[후기] 감동과 설렘 그리고 기분 좋음을 넘어선 그 무엇

녹색연합에서 주최한 [서울 성곽 걷기 여행]에 참여하고 나서, 그 날 제가 느꼈던 “감동과 설렘” 그리고 “기분 좋음(혹은 뿌듯함)을...

댓글: 0  조회수: 327

[협치서대문 100인 원탁회의] 주민이 그린 협치, 협치로 만드는 서대문

희망제작소와 서울 서대문구는, 민관이 함께하는 협치도시 서대문구를 만들기 위해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일환으로 다양한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긴 가뭄 가운데 반가운 비가…

댓글: 0  조회수: 220

[협치서대문 100인 원탁회의] 주민이 그린 협치, 협치로 만드는 서대문

희망제작소와 서울 서대문구는, 민관이 함께하는 협치도시 서대문구를 만들기 위해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일환으로 다양한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긴 가뭄 가운데 반가운 비가…

댓글: 0  조회수: 220

[시니어드림페스티벌/사전워크숍] 시니어와 청년, 더 나은 사회를 위해 뭉치다

올해로 4회를 맞이한 시니어드림페스티벌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청년과 시니어가 직접 제안하고 한 팀이 되어 10주 동안 실행하는 세대공감 프로젝트입니다.…

댓글: 0  조회수: 193

[시니어드림페스티벌/사전워크숍] 시니어와 청년, 더 나은 사회를 위해 뭉치다

올해로 4회를 맞이한 시니어드림페스티벌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청년과 시니어가 직접 제안하고 한 팀이 되어 10주 동안 실행하는 세대공감 프로젝트입니다.…

댓글: 0  조회수: 193

[2017 사다리포럼] 업무 차이는 있지만 사람 차별은 없는 사회

2017년 5월 29일, 2017년 사다리포럼 첫 공개토론이 열렸습니다. 이번 포럼은 최근 우리 사회 쟁점 중 하나인 공공부문 비정규직 해법을 찾아보기 위해 개최되었는데요. 그…

댓글: 0  조회수: 383

[2017 사다리포럼] 업무 차이는 있지만 사람 차별은 없는 사회

2017년 5월 29일, 2017년 사다리포럼 첫 공개토론이 열렸습니다. 이번 포럼은 최근 우리 사회 쟁점 중 하나인 공공부문 비정규직 해법을 찾아보기 위해 개최되었는데요. 그…

댓글: 0  조회수: 383

[민선6기 목민관클럽 제20차 정기포럼] 지방·자치분권,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연다!

민선6기 목민관클럽 제20차 정기포럼이 ‘지방·자치분권,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연다!’는 주제로, 2017년 5월 25~26일 이틀간 전북 정읍시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댓글: 0  조회수: 232

[민선6기 목민관클럽 제20차 정기포럼] 지방·자치분권,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연다!

민선6기 목민관클럽 제20차 정기포럼이 ‘지방·자치분권,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연다!’는 주제로, 2017년 5월 25~26일 이틀간 전북 정읍시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댓글: 0  조회수: 232

[서대문 공무원 협치 챔피언 교육] 만남, 기록, 공유 – 협치를 위한 세 가지 키워드

봄기운 가득한 4월의 어느 날, 서울 남가좌동에 위치한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센터’에서 서대문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협치 챔피언 교육’이 진행됐습니다. 교육의 대상자일…

댓글: 0  조회수: 538

[서대문 공무원 협치 챔피언 교육] 만남, 기록, 공유 – 협치를 위한 세 가지 키워드

봄기운 가득한 4월의 어느 날, 서울 남가좌동에 위치한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센터’에서 서대문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협치 챔피언 교육’이 진행됐습니다. 교육의 대상자일…

댓글: 0  조회수: 538

[서대문 협치회의 분과위원 50인 원탁토론] 둥글게 모여앉아 서대문의 협치를 말하다

2017년 5월 18일, 서울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센터에서 서대문 협치회의 분과위원을 대상으로 하는 50인 원탁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위원들은 이 자리에서 서대문 협치 성공을…

댓글: 0  조회수: 377

[서대문 협치회의 분과위원 50인 원탁토론] 둥글게 모여앉아 서대문의 협치를 말하다

2017년 5월 18일, 서울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센터에서 서대문 협치회의 분과위원을 대상으로 하는 50인 원탁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위원들은 이 자리에서 서대문 협치 성공을…

댓글: 0  조회수: 377

도시권 실현, 어떻게 가능할까? – 주거권으로 살펴본 한국의 도시권

희망제작소는 연구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공육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중 ‘슈퍼비전’은 연구원들이 관심 있는 주제 혹은 사업 관련 학습이 필요할 때 관련 전문가를…

댓글: 0  조회수: 275

도시권 실현, 어떻게 가능할까? – 주거권으로 살펴본 한국의 도시권

희망제작소는 연구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공육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중 ‘슈퍼비전’은 연구원들이 관심 있는 주제 혹은 사업 관련 학습이 필요할 때 관련 전문가를…

댓글: 0  조회수: 275

씁쓸함과 기대를 남긴 투어

오랜만에 깨끗한 날씨였습니다.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가 무색하게 밝고 좋은 날이었습니다. 지난 연말 성북동에서의 회원 송년의 밤 이외엔 처음으로...

댓글: 0  조회수: 394

씁쓸함과 기대를 남긴 투어

오랜만에 깨끗한 날씨였습니다.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가 무색하게 밝고 좋은 날이었습니다. 지난 연말 성북동에서의 회원 송년의 밤 이외엔 처음으로...

댓글: 0  조회수: 394

[2017 한독도시교류포럼] “기억문화는 다양한 목소리를 나누는 민주주의의 과정”

희망제작소는 안산시,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과 함께 ‘기억의 조건 : 한국과 독일의 사례로 보는 기억문화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2017년 3월 23일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댓글: 0  조회수: 254

[2017 한독도시교류포럼] “기억문화는 다양한 목소리를 나누는 민주주의의 과정”

희망제작소는 안산시,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과 함께 ‘기억의 조건 : 한국과 독일의 사례로 보는 기억문화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2017년 3월 23일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댓글: 0  조회수: 254

[목민관클럽 19차 정기포럼] 시민의 기억이 지역을 만든다

민선6기 목민관클럽 19차 정기포럼이 ‘시민의 기억이 지역을 만든다’는 주제로, 2017년 3월 21~22일 이틀간 경기 안산시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기억문화의…

댓글: 0  조회수: 187

[목민관클럽 19차 정기포럼] 시민의 기억이 지역을 만든다

민선6기 목민관클럽 19차 정기포럼이 ‘시민의 기억이 지역을 만든다’는 주제로, 2017년 3월 21~22일 이틀간 경기 안산시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기억문화의…

댓글: 0  조회수: 187

[쓸모있는 걱정 – 2017 Fack Check 편] 지속 가능한 미래의 조건, 그리고 탄핵

‘어떻게 하면 지속가능발전을 더 쉽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걱정하나 줄이기 프로젝트: 쓸모있는 걱정’은 시민의 걱정에서 우리 사회의…

댓글: 0  조회수: 267

[쓸모있는 걱정 – 2017 Fack Check 편] 지속 가능한 미래의 조건, 그리고 탄핵

‘어떻게 하면 지속가능발전을 더 쉽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걱정하나 줄이기 프로젝트: 쓸모있는 걱정’은 시민의 걱정에서 우리 사회의…

댓글: 0  조회수: 267

[모금전문가학교] 모금으로 세상을 바꾸다

기부의 어원은 ‘돈 내이소’? 모금은 기부라는 행위가 선행돼야 이뤄지는 것이라 먼저 기부(Donation)의 어원을 알아보았다. 다음과 같은 말이 회자하고 있었다. 구한말 한국에…

댓글: 0  조회수: 246

[모금전문가학교] 모금으로 세상을 바꾸다

기부의 어원은 ‘돈 내이소’? 모금은 기부라는 행위가 선행돼야 이뤄지는 것이라 먼저 기부(Donation)의 어원을 알아보았다. 다음과 같은 말이 회자하고 있었다. 구한말 한국에…

댓글: 0  조회수: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