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2021년을 맞아 찾은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
©서울환경운동연합
올겨울 최고 한파라던 지난 8일(금),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 백사실계곡에 다녀왔습니다.
산란철도 아니고.. 이 한겨울에.. 다녀간지 1달도 안 지났음에도…
©서울환경운동연합
올겨울 최고 한파라던 지난 8일(금),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 백사실계곡에 다녀왔습니다.
산란철도 아니고.. 이 한겨울에.. 다녀간지 1달도 안 지났음에도…
‘서울 첫눈’ 연관 검색 결과
지난 13일, 서울에 예년보다 늦은 첫눈이 내렸습니다. 18일(금)에 올해 마지막으로 백사실계곡에 다녀올 계획이었기에 눈 소식이 조금 걱정도…
©서울환경운동연합
지난 금요일(11/20), 이례적으로 쏟아진 가을 폭우 이후 백사실계곡을 찾았습니다. 백사실계곡의 주소는 부암동으로 표기되지만, 서울환경연합은 주로 신영동…
미국 자연사 박물관(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홈페이지©https://www.amnh.org/
1998년 미국 뉴욕의 자연사 박물관에서는…
“태릉골프장 과연 98% 훼손지인가?” 토론회 보러가기
태릉골프장 그린벨트에 1만 호의 주택 공급이 예고된지도 어느덧 두 달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그동안 “…
생태경관보전지역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풍부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큰 지역을 생태계보전지역으로서 정하여 보전하도록 하는…
그린벨트 보전 vs 개발
요즘 서울시 동북쪽 끝자락에 위치한 태릉 골프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태릉 골프장에 1만 세대에 달하는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정부의 주택…
개구리사다리라는 말 들어보셨을지 모르겠습니다. 그간 지나가는 내용 정도로 언급을 했던 적은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아마 자세하게 알고 계신 분들은 없을 것 같은데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정부가 8.4수도권주택공급대책의 일환으로 태릉골프장 1만 호 주택 공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그린벨트는 미래세대를 위해 보존한다”라고 한 대통령의…
정부가 8.4수도권주택공급대책의 일환으로 태릉골프장 1만 호 주택 공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그린벨트는 미래세대를 위해 보존한다”라고 한 대통령의 방침을 강조하면서도 “…
서울환경운동연합(이하 서울환경연합)은 지난 9월 18일(금) 새벽 동틀 무렵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생태연구실(조사총괄 한봉호 교수), 생태보전시민모임, 정의당 이은주 국회의원, …
신영동에서 백사실계곡으로 올라가는 길©서울환경운동연합
긴긴 비가 끝나고 최상류에 새롭게 보수한 사방시설이 멀쩡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백사실계곡에 다녀온 지 어언 한 달이…
태릉 골프장 후문 앞©서울환경운동연합
국방부 소유의 국유지이자 군체육시설로서 주 고객의 대부분이 퇴역 장성이라는 특징을 보이는 태릉 골프장은 1966년에 개원한 이래 55년간…
태릉 골프장 주차장 저 너머로 갈매 신도시의 아파트 단지가 보인다.©서울환경운동연합
태릉 골프장은 조선시대부터 보전되어온 소나무 숲에 조성된 체육시설입니다. 이런 태릉…
태릉 골프장 현장조사 중©서울환경운동연합
미래세대를 위해 그린벨트는 개발하지 않을 것이지만, 태릉 골프장은 택지 공급을 위해 개발하겠다는 모순적인 발표 이후 한 달의 시간이…
지난 8월 4일, 수도권 주택 가격 안정을 위한다는 명목 아래 발표된 정부의 부동산대책으로 개발될 위기에 처한 태릉 그린벨트. 조선 왕족의 무덤으로서 이미 인류 보편의 가치를…
서대문구 안산에서 바라본 서울 풍경, 산자락 너머로 빼곡하게 개발된 도심이 보인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상업구역으로 또 주거구역으로 각각의 용도에 맞춰 빼곡하게 개발된 오늘날의…
서울환경연합이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 준보전지역의 보수공사 현장에 다녀오고 어느덧 한 달여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간 비도 꽤나 내리기도 했고 변화한 계곡의 모습과 최상류…
능금마을에서 최상류 준보전지역으로 가는 길 © 서울환경운동연합
햇볕이 쨍쨍하던 지난 17일! 서울환경연합은 백사실계곡의 최상류 준보전지역을 찾았습니다. 평소에 모니터링을…
© 서울환경운동연합
북악산 밑자락 백사실계곡 초입에서부터 건너편 인왕산이 뚜렷하게 보이던 어제(5월 21일)! 서울환경연합은 한 달여 만에 다시금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 지역을…
© 서울환경운동연합
4월의 막바지를 앞두고 있던 지난 23일, 한 달여 만에 다시 백사실계곡을 찾았습니다!
© 서울환경운동연합
한 달여의 시간 동안 백사실계곡에 어떤 변화가…
지난 4월 23일, 기쁘고 기쁜 소식이 서울시보 제3580호를 통해 발표되었습니다. 바로 용산구 한남동 677-1 일대에 위치한 한남근린공원의 부지 전체를 서울시의 주도로…
© 국립생물자원관
그중 양서류는 파충류와 더불어 세계 자연보전연맹이 지정한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할 확률이 가장 높은 종인데요.
국립생물자원관의 우리나라 양서류 적색목록 평가…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이 ‘생활’한다는 도시 서울에는 다양한 용도의 보전·보호 지역들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야생생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하는 야생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