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모금과 서명으로 함께 하세요!
한일 일본군‘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에 모금과 서명으로 함께 하세요!
작년 12월 일본정부는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최종적이고…
한일 일본군‘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에 모금과 서명으로 함께 하세요!
작년 12월 일본정부는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최종적이고…
2016년 한살림 천지보은공동체 대보름잔치 안내
한살림 천지보은공동체와 함께하는 정월대보름 잔치! 달 밝은 대보름을 맞아 세시풍속을 맛보며 다양한 전래놀이도 함께…
2016년 한살림 천지보은공동체 대보름잔치 안내
한살림 천지보은공동체와 함께하는 정월대보름 잔치! 달 밝은 대보름을 맞아 세시풍속을 맛보며 다양한 전래놀이도 함께…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날, 정월대보름. 한살림 식구들 모두 한 자리에 모여 한 해 농사가 잘 되길 기도하는 2016 첫 한살림 잔치입니다. 쥐불놀이와 줄다리기, 달집 태우기도…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날, 정월대보름. 한살림 식구들 모두 한 자리에 모여 한 해 농사가 잘 되길 기도하는 2016 첫 한살림 잔치입니다. 쥐불놀이와 줄다리기, 달집 태우기도…
되살림 장터 참가자 모집
쓰지 않는 물건들을 직접 판매하고, 나누는 기회는 어린이들의 살아있는 경제교육입니다. 한살림되살림 장터에서 물건을 판매할 어린이와 조합원, 이웃들을…
되살림 장터 참가자 모집
쓰지 않는 물건들을 직접 판매하고, 나누는 기회는 어린이들의 살아있는 경제교육입니다. 한살림되살림 장터에서 물건을 판매할 어린이와 조합원, 이웃들을…
2016년 종자계에서 진행하는 장담기 합니다.
일시 : 2016년 2월 20일(토) 오전9시30분
장소 : 울주군 웅촌면(신건숙이사 집)
신청 : 260-8485(선착순 40명…
2016년 종자계에서 진행하는 장담기 합니다.
일시 : 2016년 2월 20일(토) 오전9시30분
장소 : 울주군 웅촌면(신건숙이사 집)
신청 : 260-8485(선착순 40명…
[그 사람 이 물품]
한 장의 김, 삼백서른 번의 수고
김형호 신흥수산 생산자
“언제까지 자고 있는겨. 넘들은 벌써 김 한 번 치고 왔는디.” 아침 해가 어스름하게 바다에…
[그 사람 이 물품]
한 장의 김, 삼백서른 번의 수고
김형호 신흥수산 생산자
“언제까지 자고 있는겨. 넘들은 벌써 김 한 번 치고 왔는디.” 아침 해가 어스름하게 바다에…
[그 사람 이 물품]
하이얀 보물에 순수함 가득 담은 이
강용규 유애래 생산자
결이 다르다. 유애래의 강용규 생산자와 이야기하면서 한살림의 여타 생산자들과는 미묘한 차이를 느낄…
[그 사람 이 물품]
하이얀 보물에 순수함 가득 담은 이
강용규 유애래 생산자
결이 다르다. 유애래의 강용규 생산자와 이야기하면서 한살림의 여타 생산자들과는 미묘한 차이를 느낄…
겨울 과수원은 휴식 중
날씨가 추워지니 아침에 일어나 창문을 열면 흰눈이 반겨주는 경우가 많네요. 오늘도 예외 없이 창문 밖 세상은 하얀 옷으로 갈아입었습니다. 맛난 열매를…
겨울 과수원은 휴식 중
날씨가 추워지니 아침에 일어나 창문을 열면 흰눈이 반겨주는 경우가 많네요. 오늘도 예외 없이 창문 밖 세상은 하얀 옷으로 갈아입었습니다. 맛난 열매를…
절기 따라 듣는 한살림
어느덧 겨울의 마지막 ‘대한’
글 김우영 기획홍보팀
▲텅 빈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수많은 새들이 있다.
올 해 1월 20일은 겨울의…
절기 따라 듣는 한살림
어느덧 겨울의 마지막 ‘대한’
글 김우영 기획홍보팀
▲텅 빈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수많은 새들이 있다.
올 해 1월 20일은 겨울의…
- 기본 증명서 : 동사무소 방문발급과 인터넷(민원24 www.minwon.go.kr, 공인인증서 필요)으로 발급 가능
- 범죄경력회보서 : 경찰서 방문발급과…
- 기본 증명서 : 동사무소 방문발급과 인터넷(민원24 www.minwon.go.kr, 공인인증서 필요)으로 발급 가능
- 범죄경력회보서 : 경찰서 방문발급과…
새롭게 변화하는 한살림대전의 마을모임, 소모임은 조합원 스스로 만들고 운영합니다.
조합원들이 마을의 주인이 되는 자치모임으로 새롭게 변화합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새롭게 변화하는 한살림대전의 마을모임, 소모임은 조합원 스스로 만들고 운영합니다.
조합원들이 마을의 주인이 되는 자치모임으로 새롭게 변화합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