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정부보고서 분석 – 4대강 생태계 교란, 거듭되는 악화
[보도자료] 정부보고서 분석 – 4대강 생태계 교란, 거듭되는 악화
4대강 생태계 교란, 거듭되는 악화
- 4대강사업 구간의 수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한 정부의 보고서 분석…
[보도자료] 정부보고서 분석 – 4대강 생태계 교란, 거듭되는 악화
4대강 생태계 교란, 거듭되는 악화
- 4대강사업 구간의 수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한 정부의 보고서 분석…
[보도자료] 정부보고서 분석 – 4대강 생태계 교란, 거듭되는 악화
4대강 생태계 교란, 거듭되는 악화
- 4대강사업 구간의 수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한 정부의 보고서 분석…
부산시의 낙동강 하굿둑 개방 결정 환영, 4대강 보 수문개방으로 이어져야 한다 부산시의 낙동강 하굿둑 점진적 개방 결정을...
부산시의 낙동강 하굿둑 개방 결정 환영, 4대강 보 수문개방으로 이어져야 한다 부산시의 낙동강 하굿둑 점진적 개방 결정을...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전화 02)735-7000 팩스 02)…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전화 02)735-7000 팩스 02)…
4대강 4년차 우리 강의 모습, 강과 인간의 공존은 가능할까
“4대강 사업 이전에는 모래톱도 있었고, 낮은 곳도 있고 깊은 곳도 있었다. 낮은 곳에는 수초도 있었다. 수심이…
4대강 4년차 우리 강의 모습, 강과 인간의 공존은 가능할까
“4대강 사업 이전에는 모래톱도 있었고, 낮은 곳도 있고 깊은 곳도 있었다. 낮은 곳에는 수초도 있었다. 수심이…
[투명카약-낙동에 살어리랏다⑩] 김정욱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독자들의 성원으로 '김종술 투명카약 선물하기' 프로젝트 목표액이 달성됐지만 모금은 계속합니다. 31일까지 모인…
[투명카약-낙동에 살어리랏다⑩] 김정욱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독자들의 성원으로 '김종술 투명카약 선물하기' 프로젝트 목표액이 달성됐지만 모금은 계속합니다. 31일까지 모인…
[투명카약-낙동에 살어리랏다⑪] 이철재 에코큐레이터
독자들의 성원으로 '김종술 투명카약 선물하기' 프로젝트 목표액이 달성됐지만 모금은 계속합니다. 31일까지 모인 후원금은 김종술…
[투명카약-낙동에 살어리랏다⑪] 이철재 에코큐레이터
독자들의 성원으로 '김종술 투명카약 선물하기' 프로젝트 목표액이 달성됐지만 모금은 계속합니다. 31일까지 모인 후원금은 김종술…
[투명카약-낙동에 살어리랏다⑫] 드론으로 기록한 낙동강 6가지 장면
독자들의 성원으로 '김종술 투명카약 선물하기' 프로젝트 목표액이 달성됐지만 기획기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모금은…
[투명카약-낙동에 살어리랏다⑫] 드론으로 기록한 낙동강 6가지 장면
독자들의 성원으로 '김종술 투명카약 선물하기' 프로젝트 목표액이 달성됐지만 기획기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모금은…
이명박 대통령이 벌인 4대강 사업은 ‘녹조 라떼’라는 오명 만을 얻은 채 실패로 귀결됐습니다. 정치적 성향과 상관없이 4대강 사업에 대한 평은 썩 좋지가 않죠. 하지만 청계천…
이명박 대통령이 벌인 4대강 사업은 ‘녹조 라떼’라는 오명 만을 얻은 채 실패로 귀결됐습니다. 정치적 성향과 상관없이 4대강 사업에 대한 평은 썩 좋지가 않죠. 하지만 청계천…
안녕하세요, 환경운동연합 4대강 리포터, 대학생 박서연입니다.
이번에는 남한강으로 실습을 갔는데요
먼저 전체 동영상을 보여드릴게요^^
[embed]https://youtu.…
안녕하세요, 환경운동연합 4대강 리포터, 대학생 박서연입니다.
이번에는 남한강으로 실습을 갔는데요
먼저 전체 동영상을 보여드릴게요^^
[embed]https://youtu.…
죽산보 구간은 녹조, 승촌보 구간은 큰빗이끼벌레, 광주 구간은 좀개구리밥 번성
4대강사업 결과는 영산강 생태계 악화와 악순환
영산강을 흐르게 하여 하천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
죽산보 구간은 녹조, 승촌보 구간은 큰빗이끼벌레, 광주 구간은 좀개구리밥 번성
4대강사업 결과는 영산강 생태계 악화와 악순환
영산강을 흐르게 하여 하천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
1.타파스클립: 강남구의 ‘시대착오적 발상’
발전의 성과를 나누지 않겠다는 곳이 왜 국가발전의 ‘거점’인가요?
서울시민,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