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록의 공개를 넘어서 회의의 공개로! [오픈세미나 후기]
지난 5월 19일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될까. 공공기관이 투명해질까’ 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정보공개센터에서 진행한 오픈세미나가 이 날 진행되었거든요.…
지난 5월 19일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될까. 공공기관이 투명해질까’ 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정보공개센터에서 진행한 오픈세미나가 이 날 진행되었거든요.…
지난 5월 19일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될까. 공공기관이 투명해질까’ 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정보공개센터에서 진행한 오픈세미나가 이 날 진행되었거든요.…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몰라서 분했던 당신과 함께!‘알권리 학교’가 열립니다!‘가습기 살균제에 들어간 생활화학물질은 어디에서 어떻게 관리하고 있지?’ ‘핵 폐기물은…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몰라서 분했던 당신과 함께!‘알권리 학교’가 열립니다!‘가습기 살균제에 들어간 생활화학물질은 어디에서 어떻게 관리하고 있지?’ ‘핵 폐기물은…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차기정부에 제안하는 ‘투명하고 책임 있는 사회’를 위한 정책 법은 제도의 근본이 됩니다. 그렇다고 법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차기정부에 제안하는 ‘투명하고 책임 있는 사회’를 위한 정책 법은 제도의 근본이 됩니다. 그렇다고 법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와 녹색당이 4월 4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박근혜 정권의 인사들을 대상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황교안 권한대행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와 녹색당이 4월 4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박근혜 정권의 인사들을 대상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황교안 권한대행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대통령기록에서 당장 손 떼!투명사회를위한 정보공개센터소장 김유승그들이게 기록을 맡길 수 없다.대통령기록이 위기에 처했다. 2007년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대통령기록에서 당장 손 떼!투명사회를위한 정보공개센터소장 김유승그들이게 기록을 맡길 수 없다.대통령기록이 위기에 처했다. 2007년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에너지 여러분 안녕하세요:)볕은 따사로워지고, 거리에서도 광장에서도 봄을 부르는 소리가 퍼지는 3월입니다~지난 2/24일 금요일, 정보공개센터에서는 2017년 한해의…
에너지 여러분 안녕하세요:)볕은 따사로워지고, 거리에서도 광장에서도 봄을 부르는 소리가 퍼지는 3월입니다~지난 2/24일 금요일, 정보공개센터에서는 2017년 한해의…
지난 2016년 12월 15일과 16일 부산과 울산에서 '핵발전소는 빈곤과 차별의 상징이다'라는 제목의 강연회가 열렸습니다.정보공개센터 활동가들은 12월 15일 부산…
지난 2016년 12월 15일과 16일 부산과 울산에서 '핵발전소는 빈곤과 차별의 상징이다'라는 제목의 강연회가 열렸습니다.정보공개센터 활동가들은 12월 15일 부산…
사진 출처: 트위터(https://goo.gl/VyAbFM)[대통령기록관리 정상화를 위한 기록공동체 성명서]대통령기록의 정상화를 위한 비상한 대책을 요구한다! 박근혜…
사진 출처: 트위터(https://goo.gl/VyAbFM)[대통령기록관리 정상화를 위한 기록공동체 성명서]대통령기록의 정상화를 위한 비상한 대책을 요구한다! 박근혜…
김유승(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소장)1996년 12월 31일, 국민의 알권리 보장, 국정에 대한 국민의 참여 및 국정운영의 투명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
김유승(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소장)1996년 12월 31일, 국민의 알권리 보장, 국정에 대한 국민의 참여 및 국정운영의 투명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
김유승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소장박근혜 정부가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해산을 통보했다. 지난 두 해 동안 진실에 다가서는 모든 것을 감추고, 덮고, 막아섰던 그 모습…
김유승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소장박근혜 정부가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해산을 통보했다. 지난 두 해 동안 진실에 다가서는 모든 것을 감추고, 덮고, 막아섰던 그 모습…
어디 옥시만의 문제이고, 가습기살균제만의 문제이겠나. 2009년에는 발암물질이 들어간 석면베이비파우더 파동이 있었고, 2012년에는 구미의 불산 누출 사고가 있었다. 그리고 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