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가을의 향기

화, 2015/11/24- 14:26익명 (미확인) 에 의해 제출됨
관련 개인/그룹
지역

꾸미기_DSCN0454 DSCN9899

‘언젠간 가겠지 푸르른 이 청춘 / 지고 또 피는 꽃잎처럼 / 가고 없는 날들을 잡으려 잡으려 / 빈 손짓에 슬퍼지면 / 차라리 보내야지 돌아서야지 / 그렇게 세월은 가는 거야.’ 이렇게 가슴을 저리게 다가오는 노랫말들이 거리에 툭툭 떨어지는 낙엽을 바라보게 되는 가을의 날입니다. 거리에 나무들을 바라보며 노래가 들리면 나무의 심정을 듣는 듯합니다.

청주의 대표적인 가로수의 플라타너스는 수피가 벗겨지는 모습이 버짐이 피는 것 같다 해서 그리고 서양에서 들어왔다고 양버즘나무라 부릅니다. 발에 툭툭 밟히는 양버즘나무의 낙엽들을 바라보면 봄의 초록색, 여름의 녹색, 가을의 노란색, 겨울의 갈색으로 사계절의 색을 한 잎에 다 잡아 두었습니다. 한 잎을 바라보면서 이렇게 한 해가 지나갑니다. 양버즘나무를 밟다 보면 쿰쿰한 향이 돕니다. 식물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향을 갖고 있습니다. 그 향은 다른 식물들과의 삶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며 곤충 및 다양한 생명들과의 방어 및 교감을 위해 사용합니다.

무심천 가을의 안개는 알싸하고 겁겁한 향이 납니다. 안개가 지나는 들녘으로 가면 낮은 향들이 코를 자극합니다. 들깨를 베고 말리고 터는 향입니다. 이 향기가 나면 몸이 반응을 하는데 깻잎에는 들어있는 페릴케톤(perill keton)의 향입니다. 이 향은 천연 방부제로 깻잎의 파이톨 성분과 함께 항암효과를 주는데 모두 정유성분이나 알코올의 성분으로 식물의 몸에 녹아있는 것입니다. 향기가 나는 물질이라 방향물질이라 부르며 넓게 생각하면 우리에게 친근한 허브도 피톤치드도 같은 내용입니다.

가을비가 소리 없이 날리고 깻대를 태우는 향이 돌면 걸음을 자꾸 멈추게 됩니다. 식물들마다 태우면 각각 다른 향들이 나는데 그 역시 식물이 갖고 있는 다양한 정유성분들이 불에 타면서 발산하기 때문입니다. 잘 마른 나무를 태우면 향이 적은 이유도 이런 성분들이 말라가며 다 날아갔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무와 다르게 향나무는 이런 정유성분들이 줄기 가운데 남겨 놓는데 나무의 겉보다 줄기 가운데 향이 더 강하게 발산합니다.

단풍이 들고나면 솜사탕 향이 생각납니다. 바로 계수나무 때문입니다. 계수나무는 중국 남부 지역의 나무로 우리나라에는 공원이나 수목원에 심어 가꾸는 나무입니다. 다른 나무와 달리 꽃이 아닌 잎에서 달콤한 향이 나는데 단풍이 짙게 드는 바로 이 시기에 그 향이 더 그윽해집니다. 계수나무 잎에는 잎 속에 들어있는 탄수화물의 일종인 엿당(maltose)의 성분이 있는데 가을이면 이 성분이 더 강해져 공기 중의 휘발되는 양도 많아집니다. 캐러멜 혹은 솜사탕 향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잎이 나는 봄부터 여름에도 향이 나긴 합니다. 계수나무는 동요에 나오는 계수나무와는 상관없이 처음 나무를 들여왔을 때 이름을 붙여서 계수나무가 되었습니다. 실제 그리스 신화와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달의 계수나무는 없는 나무입니다. 다만 중국의 전설에 항아가 불사의 약을 갖고 달로 가는데 계피나무를 뜻하기도 합니다. 껍질인 계피가 중국에서는 신선의 약재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껍질을 다지기 위해 방아를 찧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어쩌면 가을은 황홀하고 아름답지만 슬픔이 쌓여가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온몸의 감각으로 가을을 느끼는 것은 생명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 느낌들이 쌓여가 우린 생명의 지혜들을 가질 수 있습니다. ‘지혜가 늘수록 슬픔도 느나니 지식을 더하는 자는 슬픔 역시 늘리는 것이리라’라는 글이 떠오릅니다. 그래서 가을이 더 슬프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지극히 당연한 생명의 감정이겠죠.

댓글 달기

CAPTCHA
스펨 사용자 차단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