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1032 울산시의 메르스 감염의심자 숫자 조작의혹 철저하게 밝혀야

금, 2015/06/19- 20:00익명 (미확인) 에 의해 제출됨
관련 개인/그룹
지역
greife

울산시의 메르스 감염의심자 숫자 조작의혹 철저하게 밝혀야

김기현 울산시장의 해외투자유치 해외출장을 앞두고 울산시의 메르스 감염의심자 숫자발표가 조작이라는 내용이 보도됐다(CBS. 2015/06/19). 메르스 비상사태에서 해외출국에 대한 여론무마를 위해 거짓정보를 발표했다는 의혹이다.
정부의 불투명한 정보공개로 인해 메르스 사태가 더욱 확산되고, 이로인한 시민의 피해가 확산된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울산시가 제대로된 정보공개는 못할 망정 정보를 왜곡해서 발표했다면 이는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도 용납할 수도 없는 일이다.
메르스 사태는 대한민국을 한 달여 동안 멈춰서게 한 중차대한 일이다. 그럼에도 김기현 시장의 취임 일 년을 얼마 남겨두지 않고서 발생한 이번 일은 과연 시장이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행정을 제대로 점검하고 있는지 의심할 수 밖에 없다.

보도에 의하면 북구 보건소에서는 자가 격리자 1명, 능동감시자 5명으로 총 6명을 보고했다. 그러나 울산시는 김기현 시장의 해외출장 공식발표 3시간을 앞두고 울산의 메르스 모니터링 대상자를 17명으로 발표했다. 전날보다 1명이 줄어든 긍정적 내용이지만, 실제로는 북구의 능동감시자 5명을 뺀채 발표한 것이다.
울산시 메르스관리대책본부의 발표가 있었던 18일 메르스 대응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주재한 김기현 시장이 이번 일을 몰랐다면 무능이고, 알았다면 범죄에 해당하는 일이다. 전 국민과 대한민국 정부가 총력을 기울여 메르스 사태 진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저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방역실패에 대한 국민의 분노와 불신이 여전한 상황이다. 연일 대통령과 새로 취임한 총리는 메르스 극복을 위한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본적인 숫자조차 조작하는 울산시를 접한 울산시민은 정부에 대한 신뢰를 회복할 수 없다.
울산시장은 이번 사태에 대한 분명한 책임과 사과를 해야 한다. 중앙정부차원에서도 이번 메르스 관리 정보조작에 대한 엄정한 조사와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

-끝-

2015. 6. 19.
사회불평등해소와 참여민주주의실현을 위한 울산시민연대

댓글 달기

CAPTCHA
스펨 사용자 차단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