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신문스크랩-세계일보] 앞다퉈 지방분권 외치지만… 구체 방안·재원 빠진 ‘말잔치’ [심층기획-2025 대선 매니페스토-내일을 바꾸는 약속] 7.

월, 2025/06/02- 00:00admin 에 의해 제출됨
관련 개인/그룹

<h3 id="title_sns" style="color: #000000; text-align: start;" data-ke-size="size23">앞다퉈 지방분권 외치지만&hellip; 구체 방안&middot;재원 빠진 &lsquo;말잔치&rsquo; [심층기획-2025 대선 매니페스토-내일을 바꾸는 약속]</h3>
<p style="color: #555555; text-align: start;" data-ke-size="size16"><a style="color: #555555;" href="http://www.segye.com/newsList/6000089">대선</a><span>&nbsp;</span><span style="color: #444444;">,</span><span>&nbsp;</span><a style="color: #555555;" href="http://www.segye.com/newsList/6400002">세계뉴스룸</a><span>&nbsp;</span><span style="color: #444444;">,</span><span>&nbsp;</span><a style="color: #555555;" href="http://www.segye.com/newsList/6000092">2025 대선 매니페스토-내일을 바꾸는 약속&nbsp;</a> 입력 : 2025-06-01 19:17:10<span>&nbsp;</span></p>
<p data-ke-size="size16">&nbsp;</p>
<p data-ke-size="size16">⑦ 정책공약 검증-지역균형발전 &lt;끝&gt;<br />대선 후보들 지방 소멸 위기 의식 공감 李 &lsquo;5극3특&rsquo; 권역별 특화발전 전략 강조 金 광역교통망&middot;메가시티 조성이 핵심<br />이준석 제조업 유치 &lsquo;리쇼어링&rsquo; 내세워 &ldquo;대규모 투자&middot;중앙집권적 발상에 갇혀 재원 조달 방안 없는 매표성 공약일 뿐<br />구조적인 문제 해결 위해선 개헌 필요&rdquo;</p>
<p data-ke-size="size16">&nbsp;</p>
<p data-ke-size="size16">초광역권&middot;메가시티, 농어촌 지원&hellip;. 주요 정당 대선 후보들은 앞다퉈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공약을 쏟아내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ldquo;구체적 실행방안과 재원조달 계획이 빠진 시혜성 공약&rdquo;이라고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특히 모든 후보가 지방분권을 외치면서도 중앙정부 주도 또는 대규모 투자 중심의 과거 해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p>
<p><figure class="imageblock alignCenter" data-ke-mobileStyle="widthOrigin" data-origin-width="1320" data-origin-height="742"><span data-url="https://blog.kakaocdn.net/dn/cs7RIf/btsOlwKgHKi/gfzXOXDtAnyhe3b2K7hoQ0/…" data-phocus="https://blog.kakaocdn.net/dn/cs7RIf/btsOlwKgHKi/gfzXOXDtAnyhe3b2K7hoQ0/…"><img src="https://blog.kakaocdn.net/dn/cs7RIf/btsOlwKgHKi/gfzXOXDtAnyhe3b2K7hoQ0/…" srcset="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 onerror="this.onerror=null; this.src='//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his.srcset='//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oading="lazy" width="1320" height="742" data-origin-width="1320" data-origin-height="742"/></span></figure>
</p>
<p data-ke-size="size16"><span style="color: #888888; text-align: left;">더불어민주당 이재명&middot;민주노동당 권영국&middot;국민의힘 김문수&middot;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27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정치 분야 TV토론회에 앞서 포즈를 취한 후 자리로 향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span></p>
<p data-ke-size="size16">&nbsp;</p>
<p data-ke-size="size16">◆중앙집권적 발상에 갇힌 균형개발론<br /><br />1일 세계일보가 그동안 발표된 주요 대선 후보들의 지방균형발전 공약을 전문가들과 함께 분석한 결과, 후보들은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 소멸에 대한 위기 의식에 공감했지만 과거와 다른 차별화된 공약은 내놓지 못했다.</p>
<p data-ke-size="size16">&nbsp;</p>
<p data-ke-size="size16">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포괄적인 지역균형발전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 행정수도 이전을 통한 입법권&middot;재정권&middot;조정권의 지방 이양을 내세우며 &lsquo;5극3특&rsquo;(5개 광역경제권, 3개 특별지자체) 권역별 특화발전 전략을 강조했다. 특히 지역사랑상품권과 지역화폐 확대, 주민참여예산 강화를 핵심으로 내세웠다. 이 후보는 또한 &lsquo;서울대 10개 만들기&rsquo; 공약을 통해 지역 거점 국립대학을 서울대 수준으로 육성하겠다고 공약했다. 공공의대 설립과 지역의사제 도입으로 의료격차 해소에 나서겠다고도 했다.</p>
<p><figure class="imageblock alignCenter" data-ke-mobileStyle="widthOrigin" data-origin-width="800" data-origin-height="716"><span data-url="https://blog.kakaocdn.net/dn/x0H0T/btsOmgNt3aD/ifx0RkWpDmurjsVWLHKOYk/i…" data-phocus="https://blog.kakaocdn.net/dn/x0H0T/btsOmgNt3aD/ifx0RkWpDmurjsVWLHKOYk/i…"><img src="https://blog.kakaocdn.net/dn/x0H0T/btsOmgNt3aD/ifx0RkWpDmurjsVWLHKOYk/i…" srcset="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 onerror="this.onerror=null; this.src='//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his.srcset='//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oading="lazy" width="800" height="716" data-origin-width="800" data-origin-height="716"/></span></figure>
</p>
<p data-ke-size="size16">&nbsp;</p>
<p data-ke-size="size16">전문가들은 이 후보의 공약이 지방분권을 표방하지만 여전히 중앙집권적 성격이 강하다고 분석했다. 한 전문가는 &ldquo;지방분권을 이야기하지만 세부 내용으로 가면 지역사랑상품권, 지역화폐 등 여전히 중앙정부가 사업을 컨트롤하겠다는 것이 보인다&rdquo;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ldquo;서울대 예산이 지역거점 대학의 2&sim;3배 수준인데, 그 재원을 어디서 조달할지가 문제&rdquo;라고 짚었다.<br /><br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광역급행철도(GTX) 확장 등 광역 교통망 건설을 총망라한 메가시티 조성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를 위한 공약도 강조했다. 기업에 규제가 없는 메가프리존, 한국형 화이트존을 약속했고, 지방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 등 지역 부동산 활성화 대책도 발표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다고 했다. 의료 사각지대 문제에 대해서는 계약형 지역필수의사제, 비대면 진료 기반 조성 등을 통한 해소 방안을 공약했다. 이 후보와 김 후보 모두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공통적으로 약속했다.</p>
<p><figure class="imageblock alignCenter" data-ke-mobileStyle="widthOrigin" data-origin-width="800" data-origin-height="938"><span data-url="https://blog.kakaocdn.net/dn/M2bUz/btsOm6Q8mWb/68j8vBZRyYI3kdB8cVQqk0/i…" data-phocus="https://blog.kakaocdn.net/dn/M2bUz/btsOm6Q8mWb/68j8vBZRyYI3kdB8cVQqk0/i…"><img src="https://blog.kakaocdn.net/dn/M2bUz/btsOm6Q8mWb/68j8vBZRyYI3kdB8cVQqk0/i…" srcset="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 onerror="this.onerror=null; this.src='//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his.srcset='//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oading="lazy" width="800" height="938" data-origin-width="800" data-origin-height="938"/></span></figure>
</p>
<p style="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nbsp;</p>
<p style="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전문가들은 교통망 확충 공약이 서울로 쏠리는 &lsquo;빨대효과&rsquo;를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 전문가는 &ldquo;광역 교통망 확대는 현재도 주말이면 서울의 병원과 학원으로 몰리는 중앙 집중화를 더 가속화시킬 수 있다&rdquo;고 우려했다. 지방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가 많았지만, &ldquo;대규모 자본이 싹쓸이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도 필요하다&rdquo;는 의견도 있었다.</p>
<p style="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nbsp;</p>
<p style="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리쇼어링(제조업 국내 복귀) 정책을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 해외로 나간 제조업을 지방으로 유치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구상이다. 또한 지방거점 명품 공립기숙학교 설립, 노인 교통이용권(12만원) 발급 등을 공약했다. 한 전문가는 &ldquo;리쇼어링 정책과 외국인 노동자 최저임금 차등적용이 연계되면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rdquo;고 짚었다.</p>
<p><figure class="imageblock alignCenter" data-ke-mobileStyle="widthOrigin" data-origin-width="800" data-origin-height="892"><span data-url="https://blog.kakaocdn.net/dn/k4mhP/btsOmHqwrAp/3nKFBJJV1iPQT6G61CutG1/i…" data-phocus="https://blog.kakaocdn.net/dn/k4mhP/btsOmHqwrAp/3nKFBJJV1iPQT6G61CutG1/i…"><img src="https://blog.kakaocdn.net/dn/k4mhP/btsOmHqwrAp/3nKFBJJV1iPQT6G61CutG1/i…" srcset="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 onerror="this.onerror=null; this.src='//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his.srcset='//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oading="lazy" width="800" height="892" data-origin-width="800" data-origin-height="892"/></span></figure>
<figure class="imageblock alignCenter" data-ke-mobileStyle="widthOrigin" data-origin-width="800" data-origin-height="1001"><span data-url="https://blog.kakaocdn.net/dn/SLjen/btsOk5TWTiD/PVn15sK3wRoHo0mWxZXWVk/i…" data-phocus="https://blog.kakaocdn.net/dn/SLjen/btsOk5TWTiD/PVn15sK3wRoHo0mWxZXWVk/i…"><img src="https://blog.kakaocdn.net/dn/SLjen/btsOk5TWTiD/PVn15sK3wRoHo0mWxZXWVk/i…" srcset="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 onerror="this.onerror=null; this.src='//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his.srcset='//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oading="lazy" width="800" height="1001" data-origin-width="800" data-origin-height="1001"/></span></figure>
</p>
<p data-ke-size="size16">&nbsp;</p>
<p data-ke-size="size16">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헌법에 지방자치분권국가 지향을 명시하겠다는 개헌 공약을 제시했다. 지방은행 설립과 지방세 확대 등을 통해 지방분권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ldquo;상당히 앞선 지방분권적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30만개, 녹색주택 10만개 등 일자리 창출 공약의 현실성이 얼마나 될지 의문&rdquo;이라고 꼬집었다.<br /><br />◆매표성 공약 말잔치, 지방분권 개헌필요<br /><br />전문가들은 대선 후보들의 지역균형발전 공약이 재원 조달 방안 없는 매표성 공약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 전문가는 &ldquo;공약 전반적으로 표를 얻어야 하다 보니 돌아다니면서 &lsquo;이거 해달라&rsquo; 하면 넣어주는 지역민원 성격의 공약들이 많다. 모든 걸 해준다고 하는데 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는 뚜렷하지 않다&rdquo;고 비판했다.</p>
<p><figure class="imageblock alignCenter" data-ke-mobileStyle="widthOrigin" data-origin-width="1200" data-origin-height="330"><span data-url="https://blog.kakaocdn.net/dn/UgfBy/btsOl9gOb0a/OsKRUfWQuE0EimlK7Dfs71/i…" data-phocus="https://blog.kakaocdn.net/dn/UgfBy/btsOl9gOb0a/OsKRUfWQuE0EimlK7Dfs71/i…"><img src="https://blog.kakaocdn.net/dn/UgfBy/btsOl9gOb0a/OsKRUfWQuE0EimlK7Dfs71/i…" srcset="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 onerror="this.onerror=null; this.src='//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his.srcset='//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oading="lazy" width="1200" height="330" data-origin-width="1200" data-origin-height="330"/></span></figure>
</p>
<p style="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nbsp;</p>
<p style="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진정한 지방분권을 위해서는 개헌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한 전문가는 &ldquo;지방분권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헌이 필요하다&rdquo;며 &ldquo;현재의 헌법체제 아래에서는 진정한 지방자치나 분권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rdquo;고 강조했다. 또 다른 전문가도 &ldquo;과거에는 동서지역 간의 갈등이 심했는데, 지금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기 때문에 정책 추진에 발목을 잡는 부분이 있다&rdquo;며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p>
<p style="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nbsp;</p>
<div style="background-color: #fefee5; 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
<p data-ke-size="size16">&nbsp;</p>
<p data-ke-size="size16"><b>&lt;도움 주신 분들&gt;</b></p>
<p data-ke-size="size16">&nbsp;</p>
<p data-ke-size="size16">김동원 인천대 행정학과 교수,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 김시덕 도시문헌학자, 김영록 강원대 행정학과 교수(한국정책학회), 양승훈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 조정흔 감정평가사, 하현상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한국정책학회)</p>
</div>
<div style="background-color: #f4f3f3; 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b>공동기획&nbsp;: 공공의창, 한국정당학회&nbsp;</b></div>
<div style="color: #333333; text-align: justify;">매니페스토취재팀=조병욱&middot;장민주&middot;정세진 기자</div>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