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4월 카이스트 백로 모니터링 (3,4차) feat. 모니터링에 우산 필수

월, 2020/05/11- 19:04admin 에 의해 제출됨
관련 개인/그룹
지역
카테고리

지난 4월 16일 카이스트 백로 모니터링은 저번에 하지 못한 식생조사를 위해 송경선 숲 해설가님과 이순숙 숲 해설가님의 도움으로 이뤄졌다.

교목 12종과 관목 14종을 관찰하여 눈에 보기 쉽게 그림으로 정리하여 보내주셨다. 소나무와 대나무를 좋아하는 백로가 이렇게 여러 종의 나무가 있는 곳에서 서식하는걸 보면 요즘 백로들이 자기들에게 맞는 정착지를 찾는게 얼마나 힘들지 알 수 있다.

 

날이 점점 따뜻해질수록 백로의 개체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어 숲 안으로 들어갈 때 배설물을 막기 위해 우산도 챙겨갔다. (점점 숲이 우거져 우산을 피고 들어가기에 어려움이 있었지만..)아직은 초록잎이 하늘을 많이 덮지 않은 편이라 둥지에 있는 백로와 하늘을 날고 있는 백로를 숲 안에서도 잘 볼 수 있었다.

저번 모니터링에서는 치렛깃을 보이며 번식기를 알 수 있었다면 몇몇 번식을 끝내고 포란중인 백로를 볼 수 있었다.

반대편에서 송경선 숲 해설가님과 이순숙 숲 해설가님께서 식생조사를 하는 동안 일명 새박사로 불리는 대전환경운동연합 이경호 처장님은 조류 개체수 조사를 진행 하셨다.

 

저번 모니터링에 비해 중백로 52마리, 해오라기 20마리, 쇠백로 60마리, 왜가리 10마리, 중대백로 250마리 로 늘었다. 이번년도에 온 백로들이 짝을 이뤄 번식하여 더 많은 개체수가 증가하기를 바라본다. 다음 모니터링은 더 숲이 우거지기 전에 약간의 길을 만들기로 했다.

4차 모니터링인 4월 29일 길을 만들기 위해 작은 톱과 관찰용 망원경을 들고 구수고개로 향했다. 그리고 우산도..!! 2주가 지났을 뿐인데 숲이 훨씬 울창해졌다. 준비한 작은 톱으로 한사람이 겨우 들어갈 정도로 약간의 길만 만들었다. 쭉 들어가보니 저번 모니터링보다 생선 비릿내가 더 심해졌다. 그 만큼 백로들이 더 많이 온 듯 하다.

 

길을 만들고 개체 수 파악을 위해 나무를 올려다보니 잎이 하늘을 막고 있어 저번 모니터링처럼 한 눈에 백로들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중간중간 둥지에 가만히 앉아 있는 백로를 볼 수 있었다. 저번보다 훨씬 많은 백로들이 포란중에 있었다. 한참 가만히 서서 관찰한 결과 한 나무에 중백로둥지들이 또 한 나무에 중대백로 둥지들이 빼곡하게 있었다.

 

다 같은 백로라고 하지만 중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쇠백로, 해오라기의 서식지가 분명히 나눠져 있었다.

 

다음 일정으로 인해 4차 모니터링은 짧게 끝내야 했다.

5월 모니터링에서는 시간을 조금 더 넉넉히 잡고 개구리 사다리처럼 백로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봐야겠다.

 

댓글 달기

CAPTCHA
스펨 사용자 차단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