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개인/그룹
지역
다사다난했던 섬의 해 2018년, 2019년은 “우주바다의 섬 지구, 평화의 섬”이 되길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2018년을 돌이켜 보면, 정말 섬과 관련된 이슈가 많이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2018년 1월 인도네시아 숨바와섬(Sumbawa Island)을 조사하였고, 부속섬인 붕긴섬(Pulau Bungin)을 조사하면서 남긴 칼럼(미스터리의 섬, 인도네시아 숨바와의 붕긴섬)을 읽어 본 EBS방송 제작팀이 붕긴섬을 방문, 취재를 하여 방송으로 내보낸 일이 있다. 붕긴섬에도 연륙교가 생기면서 단단한 공동체를 유지했던 부족들 사이에 사회문화적 변화가 생기고 있다. ‘섬과 다리’는 영원한 숙제이다. [caption id="attachment_196256" align="aligncenter" width="640"]
2018년 세계 최초 <섬의날> 국가기념일로 제정
우선 가장 핵심적인 일은 우리나라 최초, 그리고 세계 최초로 <섬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되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섬의 65%가 집중되어 있는 전라남도의 도의회와 국회 도서발전연구회를 비롯한 정관계, 목포MBC와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이 협력, 2018년 2월 2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게 되었다. 2016년 8월 21일 환경운동연합에 기고한 필자의 칼럼 “다도해 국가 대한민국, 섬의 날을 생각하며”가 씨앗이 되었다. 섬의 날 제정을 처음 제안하면서 시작된 <섬의 날> 제정 운동이 실제 제정으로 이어진 것에 누구보다 기쁜 한해였다. 내년 8월 8일 제1회 <섬의 날>기념식이 거행된다. 또한 행정안전부가 중심이 되어 제4차 도서종합개발계획이 수립되어 2027년까지 도서지역 개발에 예산이 투입된다. 대부분 낙후된 섬 지역의 인프라와 관광기반시설 정비에 투입되는 예산이지만, 주민들의 정주공간, 교육이나 의료 같은 복지, 수환경 보전 등 소프트웨어 차원의 사업에도 세심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주민들의 기초생활 개선이라던지 자연재해로부터의 주거 안전은 생존권 보장 차원에서 필수 항목이라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하여 재원이 원활하게 지원되길 바란다.흑산도 공항 건립 논란
섬의 자연보호와 환경문제 차원에서도 다양한 이슈가 있었다. 가장 뜨거웠던 이슈는 아무래도 흑산도공항 건립에 대한 건이다. 국립공원인 흑산도에 50인승 비행기가 뜨고 내릴 소규모 공항을 건설한다는 이슈는 ‘섬’에 대한 갑론을박을 일으켰다. 국립공원지역이라 사업에 대한 심의를 수행해야 할 국립공원위원회가 파행을 겪는 등 부끄러운 상황도 발생한 채 매듭을 짓지 못하고 해를 넘기게 되어 뜨거운 감자로 남게 되었다. 국립공원위원회에서는 항공기, 공항과 부지에 대하여 안전성, 환경성, 경제성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되었고, 이를 토대로 재차 심의를 속개할 예정이었으나 서울지방항공청이 서류제출 연기를 요청, 결국 연내 의결은 무산되었다. 찬반의 논쟁을 떠나 흑산공항이 흑산도 주민의 교통권 확보를 위해 이용되는 것이라면, 주민의 안전과 생명을 우선해야 하고, 따라서 공항의 안정성은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울릉도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조성사업’ 중단선언
울릉도가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조성사업’을 중단한다고 선언하였다. 에너지자립섬으로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덴마크 삼쇠(Samsǿ)섬과 2014년 협력체결까지 하면서 열의를 보였던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사업이다. 울릉도의 디젤발전을 태양광, 수력, 풍력,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해가는 사업인데, 정부지원이 저조하여 중단한다고 한다. 도서지역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 고시 개정으로 사업 경제적 타당성이 없어져서 중단한다는 것인데, 경상북도와 정부간 엇박자 사업으로 에너지자립섬을 추진하는 다른 지역 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울릉도는 신재생에너지사업의 80%이상을 차지할 지열발전을 위한 조사를 시행하였으나 2017년 포항지진이 발생, 안정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여론에 의하여 사업추진이 중단되었다. 사전에 심도있는 안전성 평가 없이 이러한 국책사업이 추진되면, 투자했던 기업이나 노동자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 결국 모든 결과는 주민들이 희생을 감내해야 한다는 것이다. 안전은 과학이고 시스템이다.제주 국립공원 지정, 한편으로는 비자림군락 절개, 곶자왈 중산간 지역까지 개발 등 자연보전과는 역행
최근 제주도에 국립공원이 생기게 되었다. 한라산국립공원 면적(153.40㎢)보다 4배가 넓은 610㎢의 면적을 차지한다. 제주도 육상면적의 18%가 국립공원에 포함되는 것이다. 제주도는 이것을 계기로 향후 국립공원청을 설립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대한민국 보호구역이 늘어난다는 차원에서 매우 고무적이고 환영할 일이다. [caption id="attachment_196257" align="aligncenter" width="640"]
27년 독도 거주민 김성도씨 사망, 이제 김성도씨의 부인 김신열(91세)여사만 남아
독도의 유일한 주민 김성도씨가 2018년 10년 21일 향년 79세를 일기로 숨을 거뒀다. 1987년 독도 최초의 주민인 최종덕씨가 62세로 돌아가시자 독도 주민이 없는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1991년 부인과 함께 주소지를 독도로 옮기게 되었다. 늘 “독도는 우리땅”이라 주장하지만, 막상 독도에 거주할 수 있는지는 묻는다면 누구도 쉽게 동의하지 못할 것이다. 김성도씨는 독도에서 27년 살았다. 이제 독도엔 김성도씨의 부인인 김신열(91세)여사만 남게 되었다. 김성도씨의 주민증에 있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20” 주소는 우리들 마음속에 영원히 남을 것이다. 일본의 독도에 대한 집착은 지나칠 정도이다. 며칠 전 독도 부근 해역에서 표류중인 북한어선을 구조하기 위하여 급파된 우리 해군함정의 레이더 사용에 대하여 일본 정부는 상식에 맞지 않는 이유로 항의를 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동해 영해기점 독도의 주민 김성도씨의 소천은 국민들의 가슴을 아프게 하고 있다. 내년에도 동해 독도 해역에 평화가 있기를 바랄뿐이다.섬과 관련된 국제뉴스들... 해양쓰레기, 지진 해일, 화산활동
올해는 섬과 관련된 국제뉴스도 많이 있었다. 그 중 하나가 해양쓰레기 문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섬이라고 하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이나 인도양 몰디브섬 곳곳에 수북하게 쌓인 해양쓰레기가 대대적으로 방영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안쓰기 운동’이 시작되었다. [caption id="attachment_196265" align="aligncenter" width="640"]

한반도를 둘러싼 해양영토 문제
섬은 영토를 수호하는 국토이다. 특히 영해기점 무인도는 영토의 끝섬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해양영토 문제는 내년엔 더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한다. 연말에 발생한 독도해역에서의 한국해군 레이더 이용과 일본 초계기 사이의 문제는 시작에 불과하다. 일본은 향후 다양한 군사적 활동을 할 것이면, 한반도 주변에서는 독도 영유권을 집요하게 다룰 분쟁거리를 만들 것이라 본다. 중국과 일본 사이의 센카쿠열도(일본어: 尖閣列島, 중국명: 钓鱼岛)를 비롯하여 한국과 중국간의 이어도 문제, 남중국해역을 둘러싼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 사이의 해역분쟁까지 바다 영토를 넓히려는 대국들의 힘 경쟁은 내년에도 계속된다. 한반도 평화는 남북간 육상 뿐 아니라 주변 국가들 사이의 평화적인 해양문제 해결에서도 찾을 수 있다. [caption id="attachment_196266" align="aligncenter" width="640"]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