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선거가 있는 6월 13일. 이른 아침 투표를 하고 나사로 청소년의 집으로 향한다.
오늘 수업은 나의 생일상 차려보기로 잡채와 미역국을 실습하는 날이다. 잡채재료로 돼지고기와 각종 야채, 미역국에 들어가는 쇠고기를 준비했다. “건강한 지구를 위한 식사”라 하면서 육식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 청소년들의 고기사랑은 거의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이론교육은 공장식 축산의 밀집사육과 동물들의 부리, 뿔, 꼬리를 인위적으로 절단하고, 자연 순리에 어긋난 사료의 문제로 항생제와 성장 호르몬 사용의 심각성을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열악한 동물복지 상황을 본 아이들의 표정이 편치 않다.
사람들이 소비하기 위해 키우는 동물들에게 사용할 방목지와 사료재배로 인하여 파괴되는 열대우림과, 물 부족(소를 키우는데 곡물 재배 50배사용) 문제를 함께 알아보았다. 또한 채소와 곡류를 섭취하기에 적절한 사람의 장(腸)과 치아구조를 살펴보고, 생일날, 잔칫날, 명절에나 고기를 먹었던 옛날의 식습관을 돌아보며, 현대사회의 식문화를 점검해보았다.
십 여분이 지났을까..이쯤 되니 아이들이 아우성이다.
서둘러 요리를 시작한다. 처음보다 다루는 것이 조금 나아진 조리도구 실력을 뽐낸다고 하트를 여러 개 조각하여 하트당근을 만들고 양파를 볶고, 조리실 한편 다른 아이에겐 받아진 물에 한줌의 미역만을 넣으라 하니 너무 적지 않냐고 우려의 눈짓을 보내기도 한다. 나중에 불린 미역을 보고난 아이는 ‘선생님이 더 넣었죠?’ 물론 아니다. 미역의 매력이 많지만, ‘오늘은 여기까지~’로 욕심을 줄인다.
음~~ 코끝에서는 구수한 미역국이 끓고 아이들의 서툰 솜씨로 썰고 다듬어 색색의 고운빛깔로 버무려 완성된 잡채가 차려지고, 후식으로 준비한 백설기, 과일과 스낵을 바구니에 담아보니 근사한 생일상이다. 완성된 미역국 맛을 본 아이는 아빠가 해주신 3분 미역국보다 맛있다고 한다. 다행이다. 오늘 활동 역시‘처음 해 봤다’가 대다수지만 해보니 어렵지 않다고, 생일상을 차려 보겠노라고 소감을 써놓았다. 아이들이 누구를 위한 생일상이 차려질지 벌써 기대 된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