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개인/그룹
지역
무자비한 어획과 관리감독 부재로 바다는 점점 더 휑해지는데 남획과 유령어업은 그칠 줄 모릅니다. 다행히도 유엔(UN)을 중심으로 내년부터 공해에 해양 생태계 보호구역을 지정하는 관리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늦기전에 바다가 보내는 적신호에 귀기울여야 합니다.
▶️ 건강한 바다를 원한다면 이 소식을 공유!

바다가 넓지만, 특정 해역에서 특정 바닷물고기를 마구 잡아들이는 경우에 물고기 숫자가 급격히 감소하고, 결국 더는 물고기를 잡을 수 없는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한국 어선들이 서아프리카 가난한 국가의 연안에서 불법 침입해 조업을 벌이고 남획을 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가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는 이유였다.

바다가 넓지만, 특정 해역에서 특정 바닷물고기를 마구 잡아들이는 경우에 물고기 숫자가 급격히 감소하고, 결국 더는 물고기를 잡을 수 없는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한국 어선들이 서아프리카 가난한 국가의 연안에서 불법 침입해 조업을 벌이고 남획을 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가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는 이유였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