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번째 신입회원님은 통오름의 벗이 되셨습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55번째 신입회원은 홍금실님니다. 고맙습니다! 홍금실회원님은 성산읍 난산리 통오름입니다. 산 모양이 물통, 밥통 따위 통처럼 생겼다…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55번째 신입회원은 홍금실님니다. 고맙습니다! 홍금실회원님은 성산읍 난산리 통오름입니다. 산 모양이 물통, 밥통 따위 통처럼 생겼다…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54번째 신입회원은 박흥남님니다. 고맙습니다! 박흥남회원님은 남원읍 하례리 걸서악입니다. 서쪽기슭으로 생물권보전지역인 효돈천을 끼고…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53번째 신입회원은 양명숙님니다. 고맙습니다! 양명숙회원님은 남원읍 위미리 고이악입니다. 남원읍 위미리공동목장안에 위치한 오름입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52번째 신입회원은 제주화담님니다. 고맙습니다! 제주화담님은 성산읍 고성리 대수산봉입니다.원래 물뫼(물미)라 했던 것이 동쪽에…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51번째 신입회원은 신승호님니다. 고맙습니다! 신승호회원님은 구좌읍 종달리 두산봉입니다. 송악산처럼 수중에서 폭발한 분화구안에…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50번째 신입회원은 김석헌님니다. 고맙습니다! 김석헌회원님은 표선면 토산리에 토산봉입니다. 토산봉은 오름의 형태가 토끼형국이라…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9번째 신입회원은 곽대주님니다. 고맙습니다! 곽대주회원님은 서귀포시 강정동에 있는 활오름입니다. 산모양이 활처럼 생겨서 붙여진…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8번째 신입회원은 김성희님니다. 고맙습니다! 김성희회원님은 안덕면 동광리에 있는 원물오름입니다.남쪽 기슭에 ‘원물’이라는 샘이…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7번째 신입회원은 김연환님니다. 고맙습니다! 김연환회원님은 바굼지오름입니다.안덕면 사계리에 있습니다.단산이라고도 부르지요.…
문도지오름에서 바라본 곶자왈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6번째 신입회원은 강영이님니다. 고맙습니다! 강영이회원님은 금악리에 있는 문도지오름입니다. 초승달처럼…
제주환경운동연합 선정2019 제주환경 10대 뉴스
올해 역시 개발행정에 대한 날선 비판으로 가득 찬 한해였다. 도민의 민의와 공론화에는 무관심한 원희룡도정으로 인해 제주사회의…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5번째 신입회원은 문경미님입니다. 고맙습니다! 문경미회원님은 서귀포시 중문동에 있는 녹하지악의 벗이 되셨습니다. 산록도로변에 있는…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4번째 신입회원은 해맑은어린이집입니다. 고맙습니다! 해맑은어린이집회원님은 안덕면 서광리에 있는 남송이오름입니다. 남송악이라고도…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3번째 신입회원은 오석순님입니다. 고맙습니다! 오석순회원님은 선흘리에 있는 우진제비오름의 벗이 되셨습니다. 말굽형 화구를 가진…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2번째 신입회원은 안정래님입니다. 고맙습니다! 안정래회원님은 구좌읍 송당리에 있는 체오름의 벗이 되셨습니다. 전형적인 말굽형…
제주탈핵도민행동 경주월성핵발전소 폐쇄에 힘 보태기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무시된 핵발전정책 폐기를 위해 전국운동본부에 참여결정”
“제주시청에서 경주월성핵발전소 폐쇄, 핵폐기물…
제주환경운동연합 2019 회원확대 캠페인의 41번째 신입회원은 김성렬님입니다. 고맙습니다! 김성렬회원님은 안덕면 동광리의 도너리오름입니다. 도너리오름은 분화구 바깥쪽이 넓게…
제주환경운동연합은 1999년부터 단체의 활동을 정리하고 환경현안을 정리한 활동백서를 매해 발간하고 있습니다.
‘제주의 환경을 말한다’는 이름으로 지속적인 발간을 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이미 우리의 생활 속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제주 해안 중 일부 지역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기지 않던 곳이 잠기기 시작했다. 생태계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제주도의회의 도민공론화 청원에 따른 특위 구성을 환영한다!
– 청원 취지에 입각해 도민공론화 및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 추진하라 –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오늘…
겨울마다 오는 ‘물에 사는 닭’, 물닭
– 김완병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조류학 박사)
2007년 11월 중순 제주동중학교 아이들과 함께 하도리 철새도래지를 찾았었다…
기획시리즈> 제주의 용천수 이야기
제주의 용천수는 산물이라고도 불린다. 한라산에서 내려온 물이라는 뜻도 있을 수 있지만 살아있는 물이라는 말이 더 설득력이 있다. 제주의 선조들은…
제주도 연안습지 보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지난 12월 4일(수) 오후 3시부터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제주환경운동연합 주최로 제주도 연안습지 보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었습니다…